문화·스포츠 문화

'구 군산세관 본관' 사적으로 지정…칠곡 왜관성당 등 7건은 문화재 등록

도화임본 등 2건 문화재 등록예고

구 군산세관 본관 정면 /사진제공=문화재청구 군산세관 본관 정면 /사진제공=문화재청



문화재청은 구 군산세관 본관을 사적으로 지정하고 칠곡 왜관성당을 포함한 총 7건을 문화재로 등록했다고 6일 밝혔다. 아울러 우리나라 최초의 국정 미술교과서인 도화임본((圖畵臨本) 등 2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이번에 사적 제545호로 지정된 ‘구 군산세관 본관’은 군산항에 1908년 군산세관의 본관으로 건립된 건물로 당시 감시계 청사와 감시 망루 등 다수의 시설물들이 함께 있었으나 현재는 본관과 창고만 남아 있다. 개항 초기 우리나라에 도입된 서양식 건축기법 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건립 당시 건물의 원형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이번에 등록이 결정된 문화재는 성당건축물인 칠곡 왜관성당과 교육시설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관공서 건물인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와 근대기 군산에 건립된 구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관사, 중국음식점 군산 빈해원 ,군산 구 남조선전기주식회사, 구 조선운송주식회사 사택 등 총 7건이다.


이번에 등록문화재가 된 건물 7건 중에는 4건이 군산에 있으며 군산 지역 이외 신규 등록문화재는 ‘칠곡 왜관성당’,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다. 독일인 신부 알빈 슈미트가 1966년 설계한 칠곡 왜관성당은 기존 건축양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공간 구조가 특징으로, 설계도가 지금도 전한다. 광주 서구 전남대 의대 구 본관은 1948년 착공해 한국전쟁 기간인 1951년에 완공된 모더니즘 스타일 3층 건물로, 광주의대 본관과 전남대 본부를 거쳐 전남대 의학박물관으로 이용된다.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는 석재로 마감한 1957년 관공서 건물로 정면 현관 상부를 동물과 무궁화 문양으로 처리한 점이 인상적이다.

관련기사



구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관사는 근대기 공공기관의 관사로 지어진 건축물이지만 일반적으로 관사가 표준화된 형식을 따르는 반면에 이 관사는 일본식과 서양식의 화려한 세부 표현 기법이 잘 남아있다. 일제강점기 후반 월명동으로 공공기관이 이전하면서 나타난 군산 원도심의 공간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군산 빈해원은 1950년대 초부터 화교인 왕근석씨에 의해 창업되어 대를 이어온 중국 음식점으로서 1∼2층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특징이다. 근대기 군산에 정착했던 화교 문화를 보여주는 건축물로서 가치가 있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운영 중인 식당 중에는 일제강점기 건물인 고창 조양식당을 제외하면 문화재로 등록된 사례가 거의 없다.

군산 구 남조선전기주식회사는 근대 문명의 기반이 된 전기의 생산·공급과 관련하여 일제강점기 소규모 전기회사들의 합병과 해방 후 한국전력으로 이어지는 역사를 보여주는 건축물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모더니즘 경향의 외관과 계단실 등의 처리가 특징적이다. 구 조선운송주식회사 사택은 규모가 큰 저택이자 개인 주택으로 지어진 건축물이었다가 유통업 관련 회사에 매입되어 활용되면서 우리나라 물류와 유통업의 대표 기업과 관련된 역사를 갖고 있는 중규모의 주택 건축물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정 미술교과서 도화임본 /사진제공=문화재청우리나라 최초의 국정 미술교과서 도화임본 /사진제공=문화재청


한편, 문화재청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정 미술교과서인 도화임본(圖畵臨本)과 한옥성당인 통영 황리공 등 총 2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도화임본(圖畵臨本)은 1906년 제정된 보통학교령에 의한 시행규칙에 따라 대한제국 시기, 교육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인 학부에서 편찬하여 발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정 미술교과서이다. 한국인의 생활모습이나 용품, 자연 정경 등 우리나라의 소재들이 수록돼 모필화(毛筆畵)에 의한 서양화법을 도입하면서도 민족의 주체의식이나 미적 감각이 자연스럽게 표현되어 있다. 특히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도화임본(圖畵臨本)’은 4책 1질의 완질이고, 그 중 두 책은 이 책을 편찬한 학부편집국의 보관용 도서라서 가치가 더욱 높다.

황리공소는 황리지역에서 영남 남부해안 지역의 천주교 거점 역할을 하였던 한옥 성당이다. ‘통영 황리공소’는 그 전성기인 1934년에 건립되었으며 처음부터 교회 기능에 맞게 계획하여 건립된 것인 만큼 원형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또 근대기 천주교가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한옥이 변모해 가는 건축적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통영 황리공소 /사진제공=문화재청통영 황리공소 /사진제공=문화재청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