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이란 제재 복원에..."국제유가, 배럴당 90달러 도달할 수도"

하루 100만배럴 넘게 공급 감소 예상

한 여성이 6일(현지시간) 테헤란에서 이란 국기가 그려진 담장 앞을 지나고 있다. /테헤란=AFP연합뉴스한 여성이 6일(현지시간) 테헤란에서 이란 국기가 그려진 담장 앞을 지나고 있다. /테헤란=AFP연합뉴스



미국이 이란 제재를 복원하면서 국제유가가 연말에 배럴당 9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에너지애스펙츠의 수석 석유 애널리스트 암리타 센은 6일(현지시간) CNBC 방송에서 “시장에서 중대한 공급 부족 사태가 올 수 있고 이는 유가 상승을 뜻한다”면서 “(4·4분기가 되면) 가격이 80달러를 훌쩍 넘을 위험이 크며 심지어 90달러대까지 진입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선물은 배럴당 73.75달러로 0.7% 올랐고,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69.01달러로 0.8% 상승했다. 미국의 이란 경제제재 부활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 원유 생산량이 줄었다는 보도가 영향을 미쳤다.


이란이 마지막으로 경제제재를 당했을 때는 하루 240만배럴 정도가 시장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지금은 제재로 인한 공급량 감소가 이전의 절반 정도에 그칠 것이라고 보는 에너지 애널리스트들이 많다고 CNBC는 전했다.

관련기사



모건스탠리는 이란의 원유 생산이 4·4분기에 하루 100만배럴 넘게 줄어 270만배럴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는 지난달 말 리서치노트에서 하루 100만배럴의 공급 차질이 브렌트유 가격을 17달러 정도 올릴 것으로 봤다.

미국은 7일(미 동부시간 기준) 이란에 대한 1차 제재를 시작한다. 오는 11월에는 이란산 원유 거래를 제한하는 제재가 개시된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 이란 핵 합의를 탈퇴한 바 있다.

CNBC는 투자자들이 이란 원유 수출 감소라는 유가 강세 요인과 다른 주요 산유국의 생산량 증가라는 약세 요인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