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마포 청년혁신타운 300개 기업 3년간 투자·대출 원스톱 지원

정부와 민간의 지원으로 300개 청년창업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대규모 청년 창업지원공간이 서울 마포구(옛 신용보증기금 건물)에 마련된다. 이곳에서는 금융·컨설팅·교육 지원 등이 원스톱으로 이뤄지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마포 청년혁신타운 세부 조성계획을 밝혔다. 대상은 핀테크·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에서 39세 이하 청년이 대표자인 창업 7년 이내의 기업이다.


입주기업은 최대 3년 동안 투자·대출·보증 등 금융지원을 받는다. 우선 산업은행이 ‘스타트업 투자자금’으로 주식 및 주식 관련 채권을 매입하고 기업은행도 직·간접 투자를 한다. 산은과 기은에서 대출을 받을 때도 최대 1%포인트 우대금리를 적용 받는다. 이어 신보에서는 ‘유망창업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 등으로 입주기업의 보증비율을 상향하고 보증료율은 차감해준다.

관련기사



아울러 창업지원공간에 액셀러레이터(AC)와 벤처캐피털(VC)이 함께 입주하게 돼 밀착된 투·융자 지원이 가능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2020년까지 마련 중인 10조원 규모의 혁신모험펀드와 서울시가 조성하는 1조2,000억원 규모의 혁신성장펀드를 통해 투·융자 지원을 한다”고 설명했다. 입주기업에 우선 투자하도록 혁신모험펀드 운용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마포혁신타운 운영을 위해 은행권 청년창업재단 내 전담조직도 마련한다. 운영비용 역시 청년창업재단을 통해 확보한 재원을 바탕으로 한다. 단 사옥 리모델링 비용은 신용보증기금이 부담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중 지원 프로그램을 구체화하고 내년 하반기부터 입주기업 선발 및 일부 시설을 개소한 뒤 2020년 5월 전체 개소를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손구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