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자영업자·신용대출 증가세 ‘주춤’…정부 ‘대출 조이기’ 통했나

한국은행, 2018년 7월 금융시장 동향

가계부채 뇌관으로 꼽히는 자영업자 대출과 신용대출 증가 속도가 느려지고 있다. 정부의 대출 조이기 정책 등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 누적치로 따지면 여전히 증가폭이 커서 경계를 늦추기는 이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8년 7월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은행권 개인사업자 대출은 304조6,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5,000억원 늘었다. 증가폭 2조5,000억원은 전년 동월(3조1,000억원)보다 6,000억원 감소한 것이다. 개인사업자 대출 증가폭은 올 4월부터 전년 추세보다 다소 작아진 상태다. 지난 3월 은행권에 도입한 ‘개인사업자 대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규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계 기타대출 증가폭도 소폭 줄었다. 지난달 기타대출 증가액은 1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월(1조9,000억원)보다 2,000억원 감소했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 대출 등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대출을 말한다. 월별 기타대출 증가액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역시 금융당국의 관리 강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6월말 가계부채 관리점검 회의에서 “신용대출 증가세가 큰 업권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고액 신용대출 등이 포착되는 금융사는 현장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하지만 올해 상반기 대출 증가 속도가 워낙 가팔랐기 때문에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올해 1~7월 누적 기준 기타대출 증가액은 12조2,00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8조원보다 4조원 넘게 많다. 개인사업자 대출도 지난달까지 총 15조8,000억원 늘었다. 전년 같은 기간(14조5,000억원)을 웃돈다.

한편 가계 주택담보대출 감소 흐름은 지난달에도 이어졌다. 7월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3조1,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조7,000억원 줄었다. 주담대 규제 강화에 최근 부동산 거래 감소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7월 1만4,460건에서 올 7월 5,635건으로 줄었다. 올해 1·4분기엔 전년 대비 2~3배 급증하던 것과 비교하면 거래가 크게 위축됐다.

한은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정책 효과가 비교적 뚜렷한 개인사업자 대출 증가세도 안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