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인력 흡수는 LCD 산업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업계에서는 반도체와 배터리·게임 등 주요 업종의 대중국 인력유출 규모가 수천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삼성전자의 부사장급 임원이 중국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SMIC로 이직한 일도 있었다.
문제는 중국으로 향하는 인재들을 무턱대고 말리기 어렵다는 점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은 인재를 스카우트할 때 기존 연봉의 3~4배 등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고 각종 복지도 최상급으로 보장한다”고 토로했다. 훨씬 나은 조건을 찾아 직장을 옮기는 이들을 ‘애국심’에 호소하는 것만으로 붙잡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인재를 빼돌리는 중국을 탓하기보다 고급인재가 한국에서 일하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우리의 인재경영 시스템을 돌아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경제신문 특별취재단으로 참가한 조철 산업연구원 중국연구부장은 “우리는 기업에서나 사회적으로나 연구개발 인력, 엔지니어에 대한 대우가 여전히 낮다”며 “인력이 곧 기술이라는 생각으로 고급인재에 대한 처우를 대폭 개선하고 중국처럼 체계적인 인재 양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