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창간기획-우리에게 중국은 무엇인가]연봉 3~4배 준다는데…떠나는 韓인재 말릴 수 있나

<5>기술의 블랙홀 中

반도체·게임 등 수천명 유출돼

'인력=기술' 인식 처우 개선해야

지난해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 BOE가 LG디스플레이를 제치고 세계 액정표시장치(LCD) 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서자 국내 산업계에서는 ‘한국의 공이 절반 이상’이라는 탄식이 나왔다. BOE가 급성장한 것은 LCD 시장을 선점한 한국 기업으로부터 고급인력을 대거 흡수한 덕이 컸기 때문이다. BOE는 지난 2003년 하이닉스의 LCD사업부 하이디스를 인수했고 이후에도 삼성·LG 등의 엔지니어를 수백명 이상 스카우트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인력 흡수는 LCD 산업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업계에서는 반도체와 배터리·게임 등 주요 업종의 대중국 인력유출 규모가 수천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삼성전자의 부사장급 임원이 중국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SMIC로 이직한 일도 있었다.

관련기사



문제는 중국으로 향하는 인재들을 무턱대고 말리기 어렵다는 점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은 인재를 스카우트할 때 기존 연봉의 3~4배 등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고 각종 복지도 최상급으로 보장한다”고 토로했다. 훨씬 나은 조건을 찾아 직장을 옮기는 이들을 ‘애국심’에 호소하는 것만으로 붙잡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인재를 빼돌리는 중국을 탓하기보다 고급인재가 한국에서 일하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우리의 인재경영 시스템을 돌아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경제신문 특별취재단으로 참가한 조철 산업연구원 중국연구부장은 “우리는 기업에서나 사회적으로나 연구개발 인력, 엔지니어에 대한 대우가 여전히 낮다”며 “인력이 곧 기술이라는 생각으로 고급인재에 대한 처우를 대폭 개선하고 중국처럼 체계적인 인재 양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