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국인의 머리 크기, 해방 후 커졌다

고대의대 유임주 교수팀, MRI 분석 결과

70년대 출생 한국인 30년대 보다두개강 부피 90㎖ 커

서구 사회에서 1~2세기에 걸친 변화 한국은 40년만에

안정적인 사회·경제적 분위기와 충분한 영양 공급이 변화 만들어

1930년대 출생 한국인과 1970년대 한국인 두개강의 가상 3차원 모델1930년대 출생 한국인과 1970년대 한국인 두개강의 가상 3차원 모델



해방 후 급속한 산업화·도시화를 겪으며 한국인의 머리가 커지고 생김새가 크게 달라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구 사회에서는 1~2세기에 걸쳐 차츰 전개된 머리뼈 형태 등의 변화가 한국에서는 불과 40년여년만에 일어난 것이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유임주 교수 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MRI)으로 1930년대와 1970년대에 각각 태어난 한국인 115명의 머리를 촬영해 3차원으로 재구성해 연구한 결과 이 같은 변화를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광복 이후 사회 안정을 찾은 1970년대 태어난 한국인의 경우 머리뼈 안쪽, 즉 두개강의 부피가 1930년대 출생한 한국인에 비해 약 90㎖ 커졌다. 두개골의 형태도 남자는 머리뼈의 높이와 너비, 길이가 모두 확장됐으며 여자는 높이와 너비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서구 사회에서도 산업혁명 이후 산업화·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며 1~2세기에 걸쳐 머리뼈의 형태학적 변화가 나타난 연구가 있다고 설명했다. 단 한국의 경우 광복을 전후로 4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변화가 나타났다고 부연했다. 연구팀은 정치·경제적으로 억압받았던 일제강점기와 달리 해방 후 사람들은 산업화 등 경제 성장에 따라 적절한 영양공급을 받을 수 있어 변화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관련기사



유 교수는 “두개강의 부피와 머리뼈는 뇌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요소로 인류 진화 등의 중요한 지표로 여겨져 왔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같은 한국인이더라도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머리 크기와 생김새가 변화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저명한 인류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자연인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