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평화시위 가교" 한국형 대화경찰, 15일 광복절에 첫 등장

서울경찰청, 집회현장 8곳에 36명 배치

서울지방경찰청은 15일 광복절에 도심에서 열리는 각종 집회·시위 현장에 대화경찰관을 배치한다. 사진은 지난해 6월 경북 성주군에서 사드 배치 찬성·반대 단체가 경찰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모습./성주=연합뉴스서울지방경찰청은 15일 광복절에 도심에서 열리는 각종 집회·시위 현장에 대화경찰관을 배치한다. 사진은 지난해 6월 경북 성주군에서 사드 배치 찬성·반대 단체가 경찰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모습./성주=연합뉴스



집회·시위 현장에서 참가자와 경찰 간 소통 창구 역할을 맡는 ‘대화경찰’이 15일 국내 처음 등장한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여러 단체의 대규모 도심 집회가 예고된 15일 광복절에 한국형 대화경찰관제를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범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스웨덴에서 처음 시행된 대화경찰관은 각종 집회·시위현장에서 참가자와 경찰 사이에서 소통채널을 유지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과정을 통해 물리적 충돌을 막는 역할을 한다. 집회 종료 후 경찰의 입장 발표에도 인권적 관점에서 개입한다. 앞서 지난 1일 경찰청은 집회·시위의 자유와 인권 보장을 위해 한국형 대화경찰관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서울경찰청의 대화경찰관은 이날 12개팀 36명(3인 1조)이 총 8곳에 분산배치돼 활동하게 된다. 정보 기능의 대화경찰은 집회 주최자, 경비 분야 대화경찰은 집회 참가자와의 소통채널을 유지하면서 애로사항을 청취하게 된다. 현장에서 집회 참가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별도 식별 조끼를 착용한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대화경찰이 집회 참가자와 현장 경찰관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사소한 마찰은 현장에서 중재하는 등 향후 평화적인 집회·시위 문화 정착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