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아이스크림 40%↑·삼다수 10%↑… 밥상물가 이어 가공식품도 뜀박질

롯데리아 11년 만에 소프트콘 인상

삼다수도 7년 만에 출고가 올려

리챔·쌕쌕·편의점 빵도 줄줄이

원유값 상승에 밀 시세도 급등세

과자·커피·분유도 연쇄 인상 예상

신선식품도 껑충 추석 물가대란 우려




기록적인 폭염으로 밥상물가가 급등하고 있는 가운데 생수와 우유, 아이스크림, 햄, 음료수, 빵 등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올 상반기 가공식품 가격이 한 차례 폭등한 데 이어 하반기에도 최저임금 인상에 원재료 값 상승 등으로 인해 추가 가격 인상이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14일 롯데리아에 따르면 최근 원유 가격이 ℓ당 4원 인상됨에 따라 오는 16일부터 소프트콘 아이스크림 가격을 11년 만에 500원에서 700원으로 40% 올린다. 아이스크림 제품인 토네이도 가격도 초코와 녹차는 2,000원에서 2,200원(10% 인상), 딸기맛은 2,200원에서 2,300원(4.5%)으로 올린다. 앞서 유업계 1위 서울우유협동조합도 16일부터 흰우유 가격을 1ℓ당 3.6%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생수 가격도 오른다. 생수 업계 1위 삼다수가 7년 만에 지난 1일부터 용량별 출고가를 6~10% 인상했다. 출고가 인상은 9월부터 반영된다. 대형 마트 기준으로 ℓ당 40원 오른 수준으로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동원(003580)도 ‘리챔’의 가격을 최근 4,500원에서 5,000원으로 올렸고, 롯데칠성(005300)음료도 장수 음료 브랜드 ‘쌕쌕’을 코코넛젤리 음료로 전면 리뉴얼 하면서 기존 700원에서 1,000원으로 인상했다.

관련기사



이 뿐만이 아니다. 롯데제과(280360)는 7월 12일부터 편의점에 납품하는 빵 7종의 가격을 최대 10%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복분자주 점유율 1위 ‘보해 복분자주’는 22일부터 출고가를 10% 올리기로 결정했다.

문제는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여기에서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우선 원유값 인상으로 유제품과 우유를 원재료로 쓰는 식품 가격의 연쇄 인상이 불가피해 보인다. 서울우유와 롯데리아 등이 관련 제품 가격을 올린 데 이어 동종 업계를 비롯해 기타 유제품과 빵, 과자, 커피, 분유 등의 가격도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올해는 기록적인 폭염이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고온에 취약한 밀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우려다.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밀 4월물 선물 가격은 3년 만의 최고치인 5,000부셸(1부셸=27.2㎏)을 기록했다. 이는 올 초에 비해 약 30%나 치솟은 가격이다. 국제 밀 시세가 국내 시장에 반영되기까지는 보통 3~6개월의 시차가 있다. 수입산 밀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시장은 결국 국제 시세를 따라갈 수 밖에 없다. 라면이나 과자, 빵 같은 서민 간식들이 밀 가격 급등의 직접적인 영향권 아래 있다.

한편 역대급 폭염으로 국내 신선식품 가격도 추석 명절까지도 오름세를 멈추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8월 중순을 고비로 채소 가격이 안정세를 되찾던 예년과 달리 올해는 가격 인상이 주춤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대형 마트 기준으로 주요 신선식품의 가격을 2주 전과 비교해봤을 때 배추는 33.6%, 양배추는 56.5%, 시금치는 131.2%, 수박은 50.6%나 가격이 올랐다. A 대형 마트 바이어는 “현재 3,880원 안팎인 양배추 한 통 가격이 다음 주에는 5,000원대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며 “배추와 무는 지난해와 견주면 가격이 비슷한 수준이지만 보통 말복 기준으로 가격이 떨어져야 하는데 떨어질 기미가 없다”고 말했다.

박윤선·변수연·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