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 빛 만난 ‘형광실크’ 항균 작용 개발

녹색 빛에 광촉매 반응…대장균 생장 최고 50% 억제

농촌진흥청은 형광단백질과 누에고치의 실크단백질을 융합해 천연 플라즈모닉스 바이오신소재 ‘형광실크’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형광실크’는 광촉매 반응으로 항균 작용을 한다.


이번 연구는 ‘형광실크를 이용한 항균 다중기능섬유 개발’과제에 따른 것으로 미국 퍼듀대학교와 공동으로 진행했다.

관련기사



붉은색을 띠는 형광실크는 버블팁아네모네(말미잘류)에서 분리된 형광단백질(mKate2) 유전자를 누에 실크단백질(피브로인) 유전자에 융합해 만든 형질전환누에를 통해 개발했다. 형광실크에 녹색광을 60분 동안 비췄을 때 대장균 생장이 50% 이상 억제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형광실크를 실크 용액·필름·밴드 등으로 가공하는 공정 기술도 개발했다. 가시광선만으로 상처를 소독하거나 오염을 제거할 수 있어 의료품이나 필터·의류 용품에도 활용할 수 있다.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잠사양봉소재과 김성렬 농업연구사는 “천연 형광실크는 광촉매 효과가 뛰어나며, 생체 적합성이 좋아 인체 내부와 외부에 모두 활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 형광실크가 의료품이나 반도체 소재, 바이오센서, 기능성 섬유 등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응용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