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소 임직원 76% “스마트공장 도입 필요"




중소기업 임직원 4명 중 3명은 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지난달 중소벤처기업 최고경영자(CEO)와 임직원 456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6.1%가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스마트 공장 도입 시 문제점에 대해서는 ‘초기 투자비용’이 43.3%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인력 확보(25.3%)’, ‘사후관리 비용(18.8%)’ 순이었다. 중소벤처기업 임직원들의 스마트공장 교육 훈련에 대한 관심도는 34.6%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스마트공장과 관련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은 18.6%로 절반에 그쳐 교육훈련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스마트공장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업의 스마트화 수준별 교육과정 개설’과 ‘스마트공장 실습과정 확대’에 대한 요구가 각각 36.9%로 가장 높았으며 희망 교육과정은 ‘공장운영시스템(36.8%)’, ‘제조 자동화(31.4%)’, ‘공장관리(15.9%)’ 순이었다.

중진공은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 관련 수요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3,300억원 규모의 제조현장스마트화자금을 신설했고, 4차 산업혁명 분야에 연간 1조원의 정책자금을 집중 지원 하고 있다. 스마트공장 운영 전문인력양성 지원을 위해 전국 5개 연수원에서 작년보다 40% 증가된 66개 스마트공장 관련 분야의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습용 스마트공장인 러닝팩토리 등 기술장비 등을 실습에 활용하여 7,000여명의 스마트공장 현장 전문가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전문인력 5만명을 육성할 계획이다. 이상직 중진공 이사장은 “스마트공장은 정부의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 중 하나로 중진공에서 정책지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분야”라며 “지난 40년간 쌓아온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인력 양성 노하우를 적극 활용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이 혁신성장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