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이재명, "어떤 방해에도 굴하지 않고 도민 권한과 예산 오로지 도민 위해 쓰겠다"

23조6,035억 규모 제1회 추가경정예산…1조6,270억 증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6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추경 예산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청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6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추경 예산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청



경기도는 1조6,270억원 규모의 올해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애초 예산 21조9,765억원보다 1조6,270억원(7.4%)이 증가한 23조6,035억원(일반회계 20조5,933억원, 특별회계 3조102억원)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이날 오후 열린 제1회 추가경정예산 도민보고에서 “민선 7기 ‘새로운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1달 반 동안 차근차근 체질을 개선하며 내실을 다져왔다”며 “도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첫 번째 결과물인 추경예산을 도민의 권리와 이익을 최우선에 두고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편성했다”고 말했다.

이번 추경의 편성방향은 크게 네 가지이다.

도는 우선 동북부 균형발전과 평화통일 기반 조성을 위해 총 3,691억원을 반영했다.

그동안 수도권을 위해 불가피한 희생을 해온 경기 동북부에 도로 등 인프라 개선에만 1,266억원을 전격 투입한다. 이는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이 지사의 의지에 따라 경기도 추경사상 최대 규모로 편성했다. 도는 대규모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낭비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행정력을 집중해 신속하게 마무리 할 계획이다.

남북협력기금과 미군공여지 대체시설 설치, 임진각 평화누리 통합개발 등 평화통일 분야에도 334억원을 배정했다. 이를 통해 도는 새로운 경제동력을 창출하고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경제공동체 구상을 든든하게 뒷받침할 방침이다.


또 자연재해와 사회적 재난으로부터 도민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안전 예산 580억원을 편성했다.

관련기사



이는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경기도의 최우선 의무라는 이 지사의 철학 아래 이번 추경에 150억원을 투입해 소방 안전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AI와 구제역 등 가축방역을 위해 286억원을 배정했다. 도는 폭염에 시름 하는 도내 축산농가를 시급히 지원해야 한다는 도의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날 예비비 8억2,000만원을 긴급 지원할 방침이다. 도는 가뭄·폭염피해 예방 및 지원, 열악한 지역치안과 미세먼지 문제 등 도민을 둘러싼 각종 안전 위협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또 전통상인과 소상공인, 청년 일자리 긴급 지원을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 예산으로 696억원을 반영했다.

주차환경 개선 등 전통시장 관련 예산 144억원, 소상공인 지원 180억원, 창업지원 등 청년 일자리 분야 195억원, 중소기업 육성 177억원 등이다. 도는 이를 통해 골목상권과 소상공인이 활짝 웃고 청년에게 희망을 주는 ‘기회가 공평한 경기도’를 만들어 나가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추경에 새로 추가된 지역화페 운영 및 지원예산 1억3,000만원이다. 지역화폐는 성남의 골목상권을 살린 검증된 정책으로 도는 올 하반기에 지역화폐 정책이 경기도 전역에 안착할 수 있도록 충실히 준비해 나갈 방침이다

이밖에 도민생활과 밀접한 민생복지에 1,327억원을 편성했다.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확충, 보육교사 처우개선비 등 영유아 보육 분야에 595억원, 노인장기요양 시설급여 지원, 장애인 활동급여 지원 등 기초복지 관련 분야 372억원, 공공의료보건 관련 360억원 등이다.

도는 군대에 간 모든 경기도 청년들을 대상으로 상해보험을 자동 가입해 군 복무 중 다쳐도 걱정을 덜 수 있도록 2억7,000만원을 신규 편성했다. 이번 제1회 추가경정 예산안은 오는 28일부터 다음달 12일까지 열리는 경기도의회 제330회 임시회 심의를 받아 확정된다.

이 지사는 “일하라고 고용한 머슴이 잔꾀 부리지 않는지, 최선을 다하는지 직접 보고 판단해 달라”면서 “그 어떤 방해에도 굴하지 않고 도민의 권한과 예산이 오로지 도민을 위해 쓰이도록 하겠다”고 굳은 의지를 보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