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KDI “제조업 생산성둔화, 신생기업 비중 감소 탓”

6년차 이하 기업 평균생산성은 향상

제조업의 생산성 증가율이 둔화하는 것은 생산성이 좋은 신생기업의 역할이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김민호 연구위원은 최근 KDI 포커스 92호를 통해 발표한 ‘제조업 신생기업의 성장동력 역할 감소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생기업(종사자 10인 이상 제조업)의 사업체당 평균 생산성은 12년차 이상 기업보다 최근에 더 좋아졌지만, 이들 신생기업이 전체 제조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비중은 줄었다.

관련기사



1995~2004년 신생기업의 평균 생산성을 12년차 이상 기업과 비교하면 3년차 이내의 기업은 12년차 이상 기업 생산성의 98.1%, 4~6년차 기업은 99.7% 수준이었는데 2005~2013년에는 각각 101.3%, 101.5%로 높아졌다. 하지만 이들 신생기업이 제조업의 총 생산성 증가에 기여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부가가치 비중은 최근에 더 낮아졌다. 1995~2004년에는 3년차 이내 기업이 5.6%, 4~6년차 기업은 9.2%였는데 2005~2013년은 각각 4.5%, 6.8%로 축소했다. 제조업 전체 부가가치 대비 개별 사업체의 총산출에 가중치로 적용한 가중평균 생산성을 보면 1995~2004년에는 3년차 이하 기업의 비중이 6.7%, 4~6년차 기업의 비중이 11.4%였는데 2005~2013년에는 각각 4.4%, 7.0%로 하락했다.

보고서는 신생기업의 평균 생산성이 높아졌음에도 제조업 총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이들의 역할이 감소한 것은 신생기업의 비중 감소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실제로 신생기업이 한국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년 사이에 급격히 줄었다. 신생기업의 사업체 수 비중은 1995년에 51%였는데 2014년에 28%로 확연히 낮아졌다.

보고서는 신생기업이 생산성 향상에 더 기여할 수 있게 하려면 창업 지원의 초점을 창업 이후 기업의 성장과 혁신 창출에 맞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혁신기업 선정 기준을 정부 인증 중심에서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사업의 성과를 엄밀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종=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