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이산가족 금강산 향해 출발…2박 3일 일정 시작

이산가족 89명, 오전 8시 35분께 출발

상봉행사… 2년 10개월 만에 이뤄져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첫날인 20일 오전 강원도 속초시 한화리조트에서 상봉 대상자들이 상봉장으로 출발하기 전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인사말을 듣고 있다/뉴스통신취재단=연합뉴스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첫날인 20일 오전 강원도 속초시 한화리조트에서 상봉 대상자들이 상봉장으로 출발하기 전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인사말을 듣고 있다/뉴스통신취재단=연합뉴스



20일부터 금강산에서 진행되는 이산가족 상봉행사을 앞두고 이산가족들은 북측 가족들과 재회할 생각에 설레는 마음으로 아침을 맞았다.

형과 함께 북측의 조카를 만나는 이병주(90) 할아버지는 잘 주무셨느냐는 물음에 “너무 설레서 잘 못 잤다”며 밝은 표정으로 말했다. 북측의 이복 여동생들과 상봉하는 신종호(70) 씨도 “어제 9시 못 돼 잠들고 오늘 새벽 3시에 일어났다”며 “몸은 어디 아픈 데 없이 좋다. 거기 가서도 좋아야지”라며 설레는 마음을 전했다. 북측 조카들을 만나는 이시득(96) 할아버지는 “어제 잘 잤고 5시쯤 일어났다”며 “아직은 기분이 어떤지 실감이 안 난다”고 말했다. 조카와 상봉하는 이관주(93) 할아버지는 “이번이 마지막이다. 이번에 우리 조카 만나면 이제 죽을 날만 받아놓은 거지. 이게 뭐야. 이번에 만나면 내가 죽을 때까지 못 보는 거야”라며 눈물을 흘렸다. 이 할아버지는 평양 출신으로 “이번에 우리 아들 데리고 같이 가는데 그 이유가 있다”며 “형님 자식들 이번에 만나면 이쪽 남쪽 내 자식하고 그쪽 조카들하고 서로 사촌지간 이다. 우리가 죽어도 남과 북 사촌끼리 맺어줘야 하니까”라며 울먹였다.


대다수 이산가족은 오전 6시 30분 이전에 아침 식사를 한 뒤 7시께부터 로비에서 대기하는 모습이었다. 한적 자원봉사자에 따르면 간밤에 건강에 문제가 생긴 이들은 없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마음이 다들 급하신 것 같다. 워낙 급하신 마음에 어서 출발하시고 싶은 마음에 버스도 빨리 타고 싶으실 것”이라며 “건강히 다녀오시란 마음뿐”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남측 이산가족 89명은 오전 8시 35분께 27대의 버스에 나눠타고 조 장관 등의 환송을 받으며 금강산을 향해 출발했다. 북측 올케를 만나러 가는 이금연(87) 할머니는 곱게 개량한복을 차려입고 버스에 올랐다. 이들은 오후 3시부터 금강산호텔에서 단체 상봉의 형식으로 2시간 동안 북측 가족과 만난다. 이어 오후 7시부터 2시간 동안 북측 주최로 환영 만찬이 이어져 남북의 가족이 금강산호텔 연회장에서 다 같이 저녁 식사를 하게 된다. 이산가족들은 22일까지 2박 3일간 6차례에 걸쳐 11시간 동안 만남의 기회를 가질 예정이다. 정부는 이산가족 중 고령자가 많은 점을 고려해 의료·소방인력 30여 명을 방북단에 포함했다.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육로와 헬기 등을 이용해 신속하게 남측으로 이송할 방침이다.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2015년 10월 이후 2년 10개월 만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8·15를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장유정인턴기자 wkd1326@sedaily.com

장유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