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도 개선 없는 총장 선출 반대"...서울대 총학·이사회 갈등

총학, 이사회에 총추위 개편 요구

교수·외부인사 30명 집단 평가 30%

반면 2만명 학생 비중은 5.7% 불과

지난달 9일 오전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열린 제27대 서울대 총장선거 파행에 대한 총학생회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한 참가자가 발언하고 있다. 총학생회 측은 “총장추천위원회와 이사회의 부실한 후보 검증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한다”고 밝혔다./연합뉴스지난달 9일 오전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열린 제27대 서울대 총장선거 파행에 대한 총학생회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한 참가자가 발언하고 있다. 총학생회 측은 “총장추천위원회와 이사회의 부실한 후보 검증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한다”고 밝혔다./연합뉴스



총장 후보자 선출 방식을 놓고 서울대 총학생회와 이사회 간 의견이 팽팽히 대립하고 있다.

20일 오전 서울대 총학생회는 ‘총장 선출 제도의 개선 후 재선거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서울대 이사회가 기존 총장 선출방식인 총장추천위원회를 통한 총장 후보자 모집 입장을 밝힌 것에 반발한 것이다.


총학은 기존 총추위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총학은 “30명에 불과한 총추위는 총장 후보 3명 선정 과정에서 25% 지분을 갖고 있지만 2만명 학생의 지분은 5.7% 뿐”이라면서 “정책 평가에서 총추위 역할을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학생 대표의 총추위 참여와 지난 선거 기간 총추위 회의록 공개 등을 요구했다.

관련기사



또 총학은 “총추위는 후보 검증 절차 강화 이외의 제도개선을 하지 않으려 한다”면서 “선거 과정에서 나온 문건 공개도 법령 위반 가능성을 들며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총학은 총추위의 중립성 강화도 요구했다. 총추위 출신 교수는 일정 기간 동안 처장단 이상의 보직을 맡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사회와 총추위는 무리라는 입장이다. 제도 개정 사항은 신임 총장 취임 이후에 진행할 것이므로 수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