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불씨’만 키운 원로회의...조계종, 주류-재야 일촉즉발

22일 원로회의, 현안 논의없이 설정 탄핵 추인

현행 종헌종법상 간선제 실시하면 주류 세력 재집권 가능성

재야 세력, 총무원장 직선제 도입 및 자승 전 원장 멸빈 주장

26일 조계사에서 주류와 재야 간 세 대결 펼칠 예정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설정 스님이 21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에서 즉각 퇴진 의사를 밝힌 뒤 마지막 삼배의 예를 올리고 있다./연합뉴스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설정 스님이 21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에서 즉각 퇴진 의사를 밝힌 뒤 마지막 삼배의 예를 올리고 있다./연합뉴스



21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직 사임 의사를 밝힌 설정 스님이 22일 원로회의에서 탄핵됐다.

원로회의는 이날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재적의원 23명 중 19명이 참여한 가운데 비공개회의와 표결을 거쳐 지난 16일 종단의 입법기구인 중앙종회에서 통과된 총무원장 불신임 결의안을 최종 인준했다. 12명이 인준에 찬성했고, 7명이 반대했다. 불신임안 인준은 재적 인원의 과반인 12명이 찬성하면 가결된다. 아슬아슬하게 인준된 셈이다. 이후 원로회의는 내부 조율을 거친 뒤 ‘만장일치로 찬성했다’고 발표했다. 당초 알려졌던 ‘종단 내 현안’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원로회의는 이 안건을 다음 회기로 이월해 논의하기로 결정한 뒤 회의를 마쳤다.


그동안 설정 스님 퇴진, 중앙종회 해산, 직선제를 요구한 불교개혁행동은 불신임안 인준안이 가결된 직후 “자진 사퇴한 설정 원장을 다시 원로회의를 통해 확인사살한 자승 전 총무원장의 잔악무도함이 드러났다”며 “승려대회를 통해 자승 전 총무원장의 멸빈(종단 추방의 징계) 결의를 모아달라”고 밝혔다. 이어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은 조계종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현안에 대해서는 일언반구의 논의를 하지 못하게 하고 원로회의를 종결시켰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종단 내 주도권을 두고 주류인 자승 전 총무원장 측과 재야 세력인 불교개혁행동이 정면으로 맞붙는 모양새다. 당장 불교개혁행동이 주도하는 전국승려대회와 맞불 집회 격인 교권수호 결의대회가 26일 조계사에서 동시에 열린다. 중앙종회는 승려대회를 불법 집회로 규정하고 이에 참석하는 스님들을 징계하기로 결의했다. 중앙종회 의장단은 22일 오후 조계사에서 열린 회의에서 “중앙종회와 교구 호법국장단, 총무원 호법부 등으로 구성되는 호법단을 발족해 승려대회에 참가하는 스님들에 대한 인적사항을 파악하고 집회 내 발언 등을 모두 채증할 것”이라고 결의했다. 아울러 9월6일에 열릴 임시회에서는 해종특위 구성 등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궐석인 조계종 총무원장은 60일 내 선거를 통해 채워질 예정이다. 현행 조계종 종헌종법은 총무원장 선거를 종회의원 81명과 24개 교구본사별로 선출한 선거인단 240명이 참여하는 간선제로 규정했다. 자승 전 총무원장이 중앙종회를 장악한 만큼 현행 종법으로 총무원장을 선출할 경우 자승 전 총무원장 측 인사가 종권을 잡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총무원장 권한대행을 맡은 진우 스님은 21일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원칙은 종헌종법 질서에 따른 종단의 안정과 화합”이라며 선거법 준수를 강조했다. 불교개혁행동은 이에 반발하며 총무원장 직선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