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편의점의 바텐더_세 번째 잔]치킨에도 어울리는 칵테일 없을까? 포인트는 '쌍화탕'?




긴 하루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 어두운 골목에 혼자서 불을 밝히고 있는 편의점. 만일 이곳에서 누군가 오직 나만을 위한 칵테일 한 잔을 만들어 내민다면 어떤 기분일까? 그것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바텐더들이 말이다.

지난 4월 글로벌 주류업체 디아지오가 주최한 세계 최대 바텐더 대회 ‘월드 클래스 2018’ 예선전에서는 이런 상상이 현실로 이뤄졌다. 국내 유수의 호텔과 바에서 이름을 날리고 있는 바텐더들이 ‘편의점에서 1만 원 이내로 구할 수 있는 부재료만으로 수준급 칵테일을 선보이라’는 과제에 맞춰 기상천외한 레시피를 선보인 것. 홈술족·혼술족이 늘어나는 추세를 고려해, 그리고 기자 개인의 호기심을 조금 보태 서울경제신문은 월드 클래스 2018 국내 결선에 오른 바텐더 10인의 ‘편의점 칵테일’ 레시피를 10주에 걸쳐 소개한다. 아울러 칵테일에 관한 지식과 각종 팁도 함께 전달할 예정이다. 오늘은 편의점에서 늘 마시던 맥주 한 캔이 아닌, 특별한 칵테일과 만나보는 것은 어떨까.


#세 번째 잔_치킨에도 어울리는 칵테일?…쌍화탕에 무를 더한 칵테일 ‘C′riller(씨릴러)‘





국민 간식의 반열에 오른 치킨. 그 뒤엔 그림자처럼 언제나 맥주가 따라붙는다. ‘치맥’을 무려 ‘사랑’이라고 간증하는 사람들이 넘쳐나고 있다. 오늘 소개할 세 번째 편의점 칵테일은 바로 이 ‘궁극의 조합’에 도전하는 당돌한 칵테일이다. 그것도 쌍화탕과 무(깍두기 만드는 바로 그 무)로. 박다비 바텐더가 선보인 칵테일 C′riller(씨릴러)는 베이스로 사용한 보드카 시락(CIROC)과 치킨(Chicken)의 머릿 글자인 ‘C’를 시간에 쫓기는 직장인들의 상황을 스릴러라는 장르와 섞어 만든 이름이다. 위트있는 제목만큼이나 재료도 맛도 흥미로운 칵테일이다.

생무로 닭을 형상화해 장식한 모습. /사진=박다비 바텐더 제공생무로 닭을 형상화해 장식한 모습. /사진=박다비 바텐더 제공





◇포인트는 ‘쌍화탕’과 ‘무’?
=C′riller를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보드카 시락 30㎖에 편의점에서 구매한 망고&패션푸르츠 스무디(아쉽게도 편의점에서 판매하던 망고&패션푸르츠는 현재 단종됐다. 파인애플 주스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45㎖와 쌍화탕 10㎖를 얼음에 넣은 셰이커나 물통에 넣고 20회 정도 흔든다. 미리 차갑게 만든 글라스에 붓고 초정탄산수 라임을 적당량 넣어 청량감을 더한다. 초정탄산수를 선택한 이유는 다른 탄산수보다 탄산이 강해서라고. 마지막으로 무를 글라스에 가니시로 장식하면 끝이다. 무는 시원하고 약간의 매콤함도 있어 치킨의 느끼한 맛을 잡아주고 천연 소화제 역할도 해준다.



그런데 주스나 탄산수는 그렇다 치고 쌍화탕이라니, 너무 튄다. 어째서 하필 쌍화탕일까? 박다비 바텐더에게 들어봤다. “칵테일에서 생각보다 중요한 맛이 바로 쓴맛입니다. 좋은 칵테일은 음식처럼 단맛과 신맛, 쓴맛, 짠맛 등 다양한 맛이 어우러져야 하거든요. 그래서 ‘비터스’라고 하는 쓴맛이 나는 착향제나 음료를 칵테일에 많이 응용합니다. 비터스 중에 가장 유명한 게 ‘앙고스투라 비터스’가 있어요. 콜라맛이 나는데도 엄청 쓴맛을 냅니다. 약맛이 나는 비터스, 초콜릿 향이 나는 비터스도 있고요. 쌍화차도 이런 역할로 사용했습니다. 아무래도 치킨이 기름기가 많다 보니 쌉싸름한 맛이 잘 어울릴 것 같아서요.”

이미 쓴 술에 더 쓴맛을 더한다니, 이게 어찌 된 일일까. 하지만 최근 해외에서는 이 비터스에 탄산수만 섞어 만든 단순한 칵테일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얼굴이 찡그려질 만큼 쓴 맛이 되려 입맛을 돋워주기 때문에 식전주로 사랑받고 있단다.



◇‘포도’로도 보드카를 만든다고?=
보드카 하면 밀이나 보리, 호밀 등 곡물을 원료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번 칵테일에 사용된 시락은 재료가 특이하다. 바로 프랑스산 포도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것도 프랑스 전역에서 엄선된 포도를 가지고 꼬냑(Cognac) 지방에서 총 5번에 걸친 증류 과정을 거쳐 만들어낸다고 한다. 성중용 디아지오 바아카데미 원장은 “시락은 일반 보드카와 달리 상큼한 레몬향과 청포도향이 끝까지 신선한 느낌을 준다”며 “씨릴러는 이런 시락의 캐릭터를 잘 살린 칵테일”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시락이 있으면 더할나위 없겠지만 편의점에 시락이 없다고 C′riller를 맛볼 수 없는 건 아니다. 청포도향 등 과일향이 나는 소주를 사용하면 비슷한 맛을 낼 수 있다.

C’riller를 선보인 박다비 바텐더. 한국에서 열린 월드클래스 바텐더 대회에서 2위를 차지한 실력자다. /사진제공=디아지오코리아C’riller를 선보인 박다비 바텐더. 한국에서 열린 월드클래스 바텐더 대회에서 2위를 차지한 실력자다. /사진제공=디아지오코리아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