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美공장 생산늘려 통상공세 대응" 이휘령의 고육지책

현지서 원자재 수급 원만히 해결

내년초 공장가동률 70~80% 기대

이휘령 세아제강 부회장.



이휘령(사진) 세아제강 부회장이 현지 공장을 활용해 미국의 통상공세를 헤쳐나가겠다고 밝혔다. 갈수록 거세지는 미국의 무역공세 탓에 수출여건이 악화하자 내놓은 고육지책이다.


이 부회장은 26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통상환경을 둘러싼 문제 때문에 고민이 많다”며 “기존에 세웠던 대응방안을 안착시키는 데 우선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쿼터제로 지난해 절반 수준(51%)의 물량만 미국에 보낼 수 있는데다 개별제품에 관세까지 붙으면서 강관업체들의 수출길이 점차 좁아지는 상황. 한국 공장에서 수출하지 못한 물량을 미국 현지 공장(SSUSA)의 생산량을 늘려 대응하겠다는 기존 방침을 거듭 확인한 것이다.

관련기사



세아제강이 지난해 미국으로 보낸 물량은 약 50만톤 수준으로 이 중 유정용 강관이 차지하는 비중은 50%(25만톤) 이상으로 추정된다. 올해 쿼터제가 발동되면서 대미 유정용 강관 수출량이 12만톤으로 제한된 만큼 최대 생산 규모가 15만톤에 달하는 SSUSA의 가동률을 높여 지난해 수준의 물량을 팔 계획이다. 현재는 SSUSA 가동률이 30%에 머물고 있지만 올해 말 혹은 내년 초쯤에는 70~80% 수준으로 올라설 것으로 세아제강 측은 보고 있다. 이 부회장은 “현지 원자재(열연) 가격이 급등한 만큼 수급이 쉽지 않을 거라는 말도 나왔지만 지금은 잘 해결된 상태”라며 “공장 가동률을 곧 끌어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유정용 강관과 함께 세아제강의 핵심제품인 송유관 수출 피해를 상쇄하기 쉽지 않은 점은 고민거리다. 지난해 대미 수출 물량 중 40%(20만톤) 정도를 차지하는 송유관의 올해 쿼터는 10만톤 수준으로 예상된다. SSUSA에서는 송유관을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10만톤 정도의 공백을 메우기가 쉽지 않다. 현지 가격이 전년 대비 15% 이상 뛰면서 그나마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봤지만 미국이 최근 세아제강에 1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이마저도 어려워졌다. 철강 업계의 한 관계자는 “세아제강 측이 현지 공장 증설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기존에 없던 송유관 라인을 새로 들여 피해를 만회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