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 불과 17년만에 '고령사회' 진입… 일본도 24년 걸려

65세 인구 비중 사상 첫 14% 넘어서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사상 첫 감소세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동시에 우리나라의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처음 감소세로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이미지투데이지난해 우리나라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동시에 우리나라의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처음 감소세로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이미지투데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동시에 우리나라의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처음 감소세로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27일 정부의 공식 인구 확정통계인 ‘2017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방식 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등록센서스 방식은 15개 기관의 주민등록부, 외국인등록부, 건축물대장, 학적부 등 25종의 행정자료를 활용한 집계 결과로 2015년 이후 매년 발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우리나라의 총인구 5,142만명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4.2%인 711만5,000명에 달해 우리나라는 ‘고령사회’ 진입을 확정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지 17년만에 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였다. 역시 고령화 속도가 세계적으로 빠른 일본도 1970년 고령화사회에서 1994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24년이 걸렸다.


반면 생산연령인구는 사상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했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19만6,000명으로 전년(3,631만2,000명)보다 0.3%인 11만6,000명 감소했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한 지역은 17개 시도 중 76.5%인 13개 시도에 달한다. 229개 시군구 중에서는 72.9%인 167개에서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했다.

관련기사



저출산 심화로 0∼14세 유소년 인구는 663만2,000명(13.3%)으로 2016년 처음 65세 이상 고령 인구에 추월당한 이후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유소년 인구보다 48만4,000명 많다. 유소년 인구 대비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 지수는 107.3으로 2016년(100.1)에 비해 7.2 증가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대비 유소년 인구를 뜻하는 유소년 부양비는 18.6에서 18.3까지 떨어졌지만 노년 부양비는 18.7에서 19.1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노령화 지수가 가장 큰 시도는 전남으로 171.5이었다. 세종시는 노령화지수가 47.8에서 45.5로 줄어 전국에서 유일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9개 시군구 중 고령인구가 유소년 인구보다 많은 시군구는 162개(70.7%)로 전년보다 6개 지역 늘었다. 노령화 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군위군(647.5)이었고 울산 북구(38.6)가 가장 낮았다.

100세 이상 인구는 3,908명으로 전년보다 12.1% 증가했다. 시도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22.0%)이 가장 높고, 경북(19.0%), 전북(19.0%), 강원(18.0%)순이었으며, 세종은 9.3%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령인구 비율이 감소했다. 동 지역의 고령인구 비율은 12.5%, 읍 지역은 15.5%, 면 지역은 28.6%로 나타났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