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정책&마켓] 정부, 신재생 에너지 예산 51.7% 증액…태양광 업계에 단비

원전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추진 중인 정부가 내년도 신재생 에너지 보급·금융 예산을 올해 대비 51.7% 증액했다. 신재생에너지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태양광 업계에선 정부의 대규모 투자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저가를 앞세운 중국산 태양광 제품들이 국내로 밀려오는데다 태양광 수요 최대 시장인 중국이 보조금 지급을 축소하면서 내수와 해외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이 고전을 면치 못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28일 발표한 2019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에너지 전환 예산은 올해 1조2,824억원에서 내년에 1조5,311억원으로 19.4% 증액 편성했다. 이 중 신재생에너지 예산이 신재생에너지보급지원예산은 올해 1900억원에서 내년 2,883억원으로,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은 올해 1,760억원에서 내년 2,670억원으로 늘어났다. 합하면 총 5,553억원으로 올해 예산 대비 51.7% 증가한 규모다. 신재생핵심기술개발지원 예산도 올해 2,079억원에서 내년 2,179억원으로 증가했다.


정부가 태양광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나서면서 태양광 업계는 내수 시장 확대에 기대를 걸고 있다. 한국산 태양광에 대한 보호무역조치와 중국 정부의 보조금 축소 등으로 해외 시장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태양광 업계로서는 예산의 집중 투자를 통한 국내 수요 확대가 절실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실제 모듈 부분에서 세계 1위인 한화케미컬은 지난 2·4분기 4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전환했다. 폴리실리콘을 담당하는 종합화학사 OCI 역시 태양광 사업을 담당하는 베이직케미칼 부문의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크게 줄어든 210억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신현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보조금 인하로 중국 내수 태양광 설치시장은 빠르게 위축됐다”며 “이런 설치수요 감소로 인한 상단 밸류체인의 부정적 영향은 3분기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정부가 예산을 대폭 늘리긴 했지만 여전히 내수 확대를 위해선 갈 길이 멀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태양광의 국내 수요 증가는 급 성장하고 있어 정부의 예산 확대는 속도를 올리는 데 좋은 작용을 할 것 같다”면서도 “여전히 국내 태양광 시장은 세계와 비교해 규모가 작아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