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조성진 LG전자 부회장 "AI로 삶의 지평 확장…모든 생활공간·시간 통합된다"

IFA 2018 기조연설




조성진(사진) LG전자 부회장이 31일(현지 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개막한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18 기조연설자로 나서 “일상에 녹아든 인공지능(AI)으로 인해 삶의 지평이 확장되고 있다”고 설파했다. 조 부회장은 자신이 LG전자에 몸담은 42년간을 회고하는 젊은 시절 사진을 등장시키며 연서를 시작했다. 그는 “LG전자에 몸담은 42년간 세계 최고의 기계를 만드는 것이 사명이었다”며 “그것은 어머니와 아내, 가족들의 ‘더 나은 삶’을 의미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조 부회장은 인공지능으로 우리 삶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그는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과 빅데이터의 결합, 5G를 통한 연결성 향상 등을 통해 인공지능은 우리의 모든 생활공간과 시간을 하나로 통합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인공지능 제품들은 퇴근 시간에 맞춰 저녁 식사를 준비하고, 필요한 제품을 미리 주문해 퇴근길에 찾아올 수 있도록 차량에 메시지를 보낼 것”이라며 “우리 미래는 집, 사무실, 자동차 등의 공간에 더는 구애 받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 AI가 사람들이 더 자유롭고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란 기대감을 피력한 셈이다. 조 부회장과 공동 기조 연설자로 나선 박일평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은 LG의 AI인 씽큐의 3가지 강점으로 ‘맞춤형 진화, 폭넓은 접점, 개방’ 등을 꼽았다. 박 사장은 특히 이스라엘의 빈집에서 ‘홈가드 기능’으로 도둑을 퇴치한 LG 로봇청소기의 사례를 들며, “스마트기기의 연결이 무한한 잠재력을 만들어 낸다”고 접점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개방과 관련해서는 LG전자의 독자 운영체제인 ‘웹OS’ 사례를 들며, “웹OS의 개방으로 더욱 뛰어난 결과물들이 만들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AI가 끊임없는 교류를 통해 진화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LG전자는 AI 기술 개발을 위해 세계 각지의 대학, 연구센터, 스타트업과의 공동연구를 진행중이다. 지난해 6월 LG전자는 인공지능연구소를 설립한 데 이어 올해 초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AI 연구조직 ‘어드밴스트 AI’를 신설했다. 또 캐나다에 ‘토론토 AI랩’을 열었다. 박 사장은 기조연설을 마무리 지으며 “인공지능은 우리 삶의 근본적인 변화를 부를 것”이라며 “진화, 접점, 개방이 더 나은 삶을 만드는 인공지능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짚었다.

관련기사



한편 이날 행사에는 기자, 업계관계자, IFA 관람객 등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LG전자가 인공지능 분야에서 추구하는 오픈 플랫폼, 오픈 파트너십, 오픈 커넥티비티 등 3대 개방형 전략에 관심과 공감을 나타냈다./베를린=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