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택시서 토하면 15만원?…용인시 택시운송약관 개정, 실효성은 '글쎄'

용인시 택시 서비스 향상 위해 약관 개정, 택시기사와 승객 간 갈등 해결에 큰 도움이 될 지는 미지수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



경기 용인시는 관내 택시에서 오물을 버리거나 토하는 승객에게 15만원 이내에서 세차실비와 영업손실비용을 배상하도록 하는 내용의 택시운송사업약관 개정을 승인했다고 3일 밝혔다.

약관개정은 용인시개인택시조합과 4개 법인택시회사가 신청한 것으로, 택시기사와 승객 간 발생하는 분쟁을 조정하기 위한 조치다. 그러나 약관은 강제력이 없는데다 15만원 이내라는 배상금 산정 기준도 모호해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개정된 약관은 오는 27일부터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목적지에 도착했음에도 하차 거부 등으로 택시기사가 손님을 경찰서에 인계하는 경우 경찰서까지의 운임과 영업손실비용도 미터기 요금을 기준으로 배상하도록 했다. 또 무임승차를 했거나 운임 지급을 거부하고 도주하면 기본운임의 5배 이내에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용인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택시 서비스 향상을 위해 택시기사와 승객 간 갈등을 줄이는 방향으로 약관개정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약관은 말 그대로 택시운송사업자가 마련한 것을 지자체가 승인해준 기준일 뿐 이행하지 않더라도 처벌할 근거가 없어 택시기사와 승객 간 갈등 해결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

또 배상 금액에 대해 택시기사와 승객 간 이견이 있을 수 있어 상황별 세부 배상기준이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용인시는 서울시의 약관을 그대로 따라 한 것이어서 비용산정 기준 근거 등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택시기사와 승객 간 시비가 붙어버리면 민사로 해결해야 하는데, 약관 자체도 불분명하다면 시비가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 배상기준을 정한 것”이라며 “세부적인 배상액 기준 등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용인시에는 법인택시 289대, 개인택시 1,394대 등 총 1,683대의 택시가 운행 중이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