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스페이시즈 “유연 업무 모든 연령층에서 수용”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스페이시즈 그랑 서울’. /사진제공=스페이시즈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스페이시즈 그랑 서울’. /사진제공=스페이시즈



유연한 업무 방식과 협업이 밀레니얼 세대만의 트렌드라 인식되고 있는 것과 달리 모든 세대에 걸쳐 새로운 업무방식을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젊은층이 중년층보다는 원격근무 등 유연한 업무공간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공유오피스 기업인 스페이시즈는 독일과 덴마크 등 주요 지역 500여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유연한 업무공간에 대한 세대별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1964년 이전 출생자 중 일주일의 반 이상 원격근무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51%로, 1980년 이후 출생자(49%) 보다 오히려 많았다. 반면 유연한 업무공간에서 다른 이들과의 소통이 업무 능력을 향상한다고 믿는다는 응답은 1980년 이후가 59%, 1964년 이전이 42%로 나타났다. 원격근무가 전통적인 사무실보다 창의적인 환경을 제공한다고 믿는다는 응답은 1980년 이후가 68%, 1964년 이전이 55%였다.유연한 업무방식이 새로운 비즈니스 및 프로젝트 기회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1980년대 이후가 67%, 1964년 이전이 55%였다. 유연한 업무공간에 기대하는 측면에서도 차이는 있었다. 1964년 이전 출생자들은 ‘생산성’에 우선 순위를 두는 반면, 1980년 이후 출생자들은 ‘창의성’을 중요하게 여겼다.


유연한 업무방식을 택하는 이유에 대해 1980년 이후의 72%는 직원들의 동기부여라고 답했으며, 유연한 근무환경이 보다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84%에 달했다.

관련기사



마틴 루딩크(Martjin Roordink) 스페이시즈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업무공간에 대한 인식이 계속해서 변화하는 가운데 혁신적인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들의 요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창의성과 협업은 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으며 모든 연령대의 임직원들에게 힘이 될 수 있다. 세대 및 부서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은 조직에 다양한 시각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져다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대별로 업무공간에 대한 인식이 다르지만 누가 더 옳은 지 판단하기는 어렵다”며 “하지만 현명한 기업인들은 모든 세대가 어우러져 회사의 이익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페이시즈는 2008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처음 문을 열어, 올해로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스페이시즈는 최근 한국을 비롯해 홍콩, 런던, 뉴욕, 파리 등에 지속적으로 지점을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 39개국에 걸쳐 120개 이상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