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민들레로 핀 7,000개 그릇..."일상이 예술"

MMCA 현대차 시리즈 2018, 최정화 작가 '꽃, 숲'전 개최

버려진 플라스틱·철재·천 활용 꽃탑 등 다양한 설치작품 선봬

"형형색색 화려한 외형 뿐 아니라 꽃의 내면적 본질도 봐 주세요"

현대미술가 최정화가 사람들이 쓰고 버리려던 그릇들을 모아 제작한 대규모 설치작품 ‘민들레’ 앞에 섰다.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현대미술가 최정화가 사람들이 쓰고 버리려던 그릇들을 모아 제작한 대규모 설치작품 ‘민들레’ 앞에 섰다.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종로구 삼청로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마당 앞에 지름 9m의 설치작품이 들어섰다. 사방으로 긴 다리를 뻗은 형태가 꼭 초대형 성게처럼 보이는 구형(球形)의 작품이다. 현대자동차가 후원하는 ‘MMCA 현대차시리즈’ 작가로 선정된 최정화(57)의 신작 ‘민들레’다. 제목을 듣고보니 작품 형태가 ‘민들레 홀씨’를 닮았다. 작가는 이 작품을 위해 지난 3월부터 공공미술프로젝트 ‘모이자 모으자’를 진행했다. 각 가정에서 용도를 다한 그릇들을 모으기 위해 전국 3개 도시 미술관을 순회한 것. 민들레 홀씨처럼 모인 식기는 무려 7,000여 개에 달했고 작가는 올여름 내내 이를 조합해 무게 3.8t의 거대한 작품을 완성했다. 부드럽고 연약한 겉모습과 달리 강인한 생명력을 갖는 민들레처럼 우리의 삶 속에서 희노애락을 함께 한 낡은 그릇들이 미술관에서 새로운 생명력을 자랑한다.

이 야외 작품을 포함한 ‘MMCA 현대차 시리즈 2018: 최정화-꽃, 숲’이 5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5전시실과 야외전시장에서 개막해 내년 2월10일까지 열린다. 최정화는 플라스틱 바구니, 돼지저금통, 빗자루, 풍선 등 일상에서 소비되는 흔하고 저렴한 소재, 또는 버려진 소모품을 활용해 다양한 설치작품을 선보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생활 속 소비재를 예술로 재탄생시키는 그의 예술은 급속한 경제성장이 빚어낸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모습을 은유하며, 고급예술과 대중문화의 경계를 허무는 작업으로 평가받는다.


전시의 부제인 ‘꽃, 숲(Blooming Matrix)’처럼 작품들은 ‘민들레’ 외에 ‘꽃, 숲’ ‘어린 꽃’ ‘꽃의 향연’으로 펼쳐진다. 그의 대표적인 재료인 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나무, 철재, 천 등 다양한 사물들이 이용됐다. 형형색색의 그릇들이 수직의 탑을 이뤄 146개의 꽃탑으로 부활했고 밝음과 어두움이 교차하는 전시장은 탑이 늘어서 꽃숲을 이룬다. 됫박, 제기, 배틀, 촛대, 사발, 솥, 돌, 폐타이어, 장승, 원시토템상 등 작가는 지난 세대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거의 모든 것들을 다뤘다. 눈부신 거울 위에 금은빛의 화려한 유아용 플라스틱 왕관을 활용한 7m 설치작품을 놓고 오르고 떨어지기를 반복하게 했다. ‘어린 꽃’이라는 제목의 이 작품에는 세월호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담았다. 중국 각지에서 수집한 나무 빨래판들로 세월의 흔적을 운치있게 보여주는 ‘늙은 꽃’과 대구를 이룬다.

관련기사



현대차시리즈 작가로 선정된 현대미술가 최정화의 설치작품 ‘꽃숲(Blooming Matrix)’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현대차시리즈 작가로 선정된 현대미술가 최정화의 설치작품 ‘꽃숲(Blooming Matrix)’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일상이 예술이요, 당신이 꽃이다”라고 말하는 최정화는 유독 ‘꽃’이라는 소재에 천착했다. 그는 “처음엔 꽃의 색깔과 화려함 때문이었지만 꽃은 예술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 누구나 알고 있는 존재로서 큰 의미가 있다”면서 “꽃에는 사랑의 에로스와 죽음의 본능 타나토스가 공존하며 예술가가 만드는 꽃은 그 외형이 아니라 꽃의 마음을 전달하는 일이다”고 말했다. 더불어 작가는 “보이는 꽃만 있겠나. 가지는 희망이고, 뿌리는 기억이다”라며 “꽃이라 불리는 작품만 보지말고 그것들이 이루는 ‘그림자’도 꼭 봐 달라”고 강조했다.

최정화는 1987년 ‘뮤지엄’전을 필두로 ‘썬데이서울’ ‘쑈쑈쑈’ 등의 획기적인 단체전을 구성했고 공간디자인에도 다양하게 참여했다. 역동적으로 변모한 1990년대 대한민국의 소비문화의 중심에서 클럽문화, 대중문화를 미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현대미술의 외연을 확장시켰다는 평가와 함께 국제무대에서 지역성과 보편성을 담아내는 작가로 주목받아왔다.

한편 그랜드하얏트서울에서는 최정화의 예술과 쉐프의 요리를 접목해 ‘최정화 아터눈티(ARTernoon Tea) 뷔페’를 9월 말까지 한정적으로 선보인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