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통영 도시재생관련 '해외수변공간 재생사례 국제 세미나'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주택공사(LH)가 5일 코엑스에서 ‘통영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주제로 ‘해외 수변공간 재생사례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 세계적 석학 및 국내외 전문가 등 150여 명이 모여 해외 수변공간 재생사례를 공유하면서 통영 폐조선소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인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첫 번째 발표를 맡은 헬렌 러치헤드 호주 UNSW(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교수는 ‘호주 시드니 수변공간 재생사례’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주변지역 수변공간 계획에 참여한 바 있다. 두 번째 발표는 싱가폴 마리나베이 수변공간 계획에 참여한 앤드류 데이빗 파쌈 싱가폴 도시개발청(URA) 시니어 디렉터가 맡아 ‘싱가폴 수변공간 재생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싱가폴 마리나베이 ‘화이트존’으로 지정해 다양한 용도의 복합적 입지를 허용하는 등 과감한 규제완화를 통해 공공의 목표에 맞는 민간 투자를 유도했다”고 밝혔다.


통영 폐조선소 도시재생 사업은 지난해 12월 선정된 국토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중 유일한 경제기반형 사업으로, LH는 올 4월 신아sb조선소 부지를 매입한 후 7월 경남도, 통영시와 기본협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했다.

관련기사



이번 사업에는 총 1조 원 이상 투입되어 신아sb조선소 부지에 수변 문화복합시설, 신산업 업무시설, 수변휴양시설, 주거·상업 및 관광숙박시설 등이 들어서고, 흉물이었던 폐조선소가 통영의 랜드마크로 조성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 5월부터 ‘마스터플랜 국제공모’를 진행하고 있으며, 7개 지명초청팀의 작품 중 최종 당선작이 이달 10일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LH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통영 폐조선소 도시재생 국제아이디어 공모’를 진행 중으로, 10월 14일까지 통영 도시재생 사업 관련 아이디어를 접수받고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공모 홈페이지 (http://idea.tongyeong-regeneration.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상우 LH 사장은 “통영 폐조선소 재생사업의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어 매우 기쁘다”며 “해외 수변공간 성공사례를 참고해 통영을 세계적 관광문화 거점으로 조성하겠다”라고 말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