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워터게이트 특종기자 우드워드가 밝힌 '트럼프 백악관의 민낯'

WP, 트럼프 일화 다룬 '공포' 사본 입수해 보도

알아사드 암살 명령과 막으려는 참모들의 일화 등 소개

워싱턴포스트(WP)는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화들을 담은 ‘공포:백악관의 트럼프’(Fear:Trump in the White House)의 사본을 입수해 보도했다.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 당시 ‘워터게이트’ 특종기자인 밥 우드워드 부편집인은 이 책을 통해 백악관 내부의 혼란상을 폭로했다./AP=연합뉴스워싱턴포스트(WP)는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화들을 담은 ‘공포:백악관의 트럼프’(Fear:Trump in the White House)의 사본을 입수해 보도했다.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 당시 ‘워터게이트’ 특종기자인 밥 우드워드 부편집인은 이 책을 통해 백악관 내부의 혼란상을 폭로했다./AP=연합뉴스



워싱턴포스트(WP)는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화들을 담은 ‘공포:백악관의 트럼프’(Fear:Trump in the White House)의 사본을 입수해 보도했다.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 당시 ‘워터게이트’ 특종기자인 밥 우드워드 부편집인은 이 책을 통해 백악관 내부의 혼란상을 폭로했다.

WP에 따르면 지난해 4월 알아사드 정권이 민간인들에게 화학무기 공격을 감행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제기랄 그를 죽이자! 쳐들어가서 그들을 많이 죽여버리자”라며 알아사드 대통령의 암살을 원했다고 밝혔다. 이에 매티스 장관은 즉시 착수하겠다고 답했지만 전화를 끊자마자 자신의 고위 참모에게 “우리는 (대통령의 명령 중) 어떤 것도 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훨씬 더 신중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우드워드는 적었다.


WP는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매티스 장관, 조지프 던퍼드 합참의장과 저녁 식사를 하면서 매케인 의원을 ‘겁쟁이’라고 묘사하면서 베트남 전쟁 당시 그가 부친 덕분에 수용소에서 다른 포로보다 빨리 석방될 수 있었다는 거짓 주장을 폈다고 전했다. 그러자 매티스 장관은 매케인 의원이 오히려 조기 석방을 거부하고 5년 동안 심한 고문을 당했다고 정정했다.

이 책은 트럼프 백악관의 ‘이너서클’에 속한 주변 인사들이 대통령의 충동을 자제시키고 ‘재앙’을 일으키는 것을 막고자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 그 과정에서 서로가 어떻게 갈등을 빚었는지에 관한 일화도 자세히 소개했다. 우드워드는 이런 과정을 “행정부의 쿠데타”, “행정부 신경계의 고장” 등으로 묘사했다.


책을 보면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자유무역협정(FTA) 폐기를 저지하려고 문서를 훔친 게리 콘 전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에 대해서도 같은 일을 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작년 봄 트럼프 대통령이 “왜 아직도 이 일(나프타 탈퇴)이 마무리되지 않았느나”라고 롭 포터 당시 백악관 선임비서관에게 묻자, 포터 전 비서관은 탈퇴 사실을 공표하는 문건 초안을 만들었다. 포터 전 비서관은 문건의 여파가 두려워 콘 전 위원장에게 자문을 구했고, 콘 전 위원장은 “내가 트럼프 대통령의 책상에서 서류를 빼내겠다”고 했다. 우드워드는 콘 전 위원장과 매티스 장관이 대통령의 위험한 행동을 저지하는 ‘전통주의자 동맹’이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대통령과 말리는 참모들 사이의 갈등도 심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백인우월주의들의 ‘샬러츠빌 유혈 사태’ 대처에 실망한 콘 전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업적 거짓말쟁이”라며 결국 사표를 던졌으나, 당시 여론에 굴복해 백인우월주의자를 공개 규탄한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참모들에게 “내가 했던 가장 큰 실수이자 최악의 연설”이라고 후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콘 전 위원장의 분노에 공감한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도 “나라면 사직서를 써서 그의(트럼프 대통령의) 항문에 6번 밀어넣었을 것”이라고 했다고 우드워드는 주장했다.

현 정부의 초대 백악관 비서실장인 라인스 프리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를 올리는 침실을 “악마의 작업장”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이 ‘폭풍 트윗’을 날리는 이른 아침이나 일요일 저녁을 “마녀가 돌아다니는 시간”이라고 각각 부르기도 했다.

참모들을 겨냥한 트럼프 대통령의 조롱도 만만치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포터 전 비서관에게 상관인 프리버스 전 실장을 무시하라고 명령하면서 “프리버스는 쥐새끼 같다”고 했다. 또한 허버트 맥매스터 전 NSC 보좌관에 대해서는 가슴을 부풀리고 호흡을 과장하는 버릇을 뒤에서 흉내 내며 비웃었고 또 자신보다 8살 많은 윌버 로스 상무장관에게는 “나는 당신을 믿지 않는다. 당신이 더는 협상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당신은 전성기가 지났다”고 면박을 줬다고 우드워드는 밝혔다.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백악관 보좌진과 대통령 가족 사이의 충돌 비화도 공개됐다.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가 이방카 트럼프 보좌관에게 “넌 빌어먹을 참모라고! 네가 책임자인 것처럼 행동하는데 넌 참모다”라고 소리를 지르자, 이방카는 “난 참모가 아니고 앞으로도 그렇게 되지 않을 거다. 난 퍼스트 도터(first daughter)”라고 맞받아쳤다고 우드워드는 전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