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가석방 비율 2배 확대…출소자 IoT기술로 철저히 감시한다

가석방 시기 앞당겨 비율 25%→50% 늘려

4차산업기술 적용한 전자발찌 이달부터 사용

전자발찌 모든 범죄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

정부가 수용시설의 과밀화 문제를 해소하고자 수용자의 가석방 시기를 앞당겨 가석방 비율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정부가 수용시설의 과밀화 문제를 해소하고자 수용자의 가석방 시기를 앞당겨 가석방 비율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



정부가 수용시설의 과밀화 문제를 해소하고자 수용자의 가석방 시기를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한다. 다만 가석방자가 늘면서 생길 수 있는 시민들의 불안감을 막기 위해 가석방 초기에는 자택을 함부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법무부는 6일 동대문구 서울보호관찰소에서 전자발찌 부착의 성과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열린 전자감독제도 시행 10주년 기념행사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도 개선방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가석방 출소자를 늘려 예산과 수용시설 운영 부담을 줄이는 대신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관리·감독을 더 철저히 하겠다는 게 제도 개선방향의 핵심이다.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보면 가석방 대상자의 형 집행률을 낮춰 가석방 출소 시기를 앞당기되 가석방 기간에는 원칙적으로 출소자가 주거지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재택감독’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법무부는 현재 한해 전체 석방자 중 25% 수준인 가석방 비율을 50% 수준으로 올리고, 평균 형 집행률을 현행 85% 수준에서 75% 이하로 낮추면 교정시설 과밀수용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한 해 전체 석방자의 26.2%(8,271명)가 가석방 출소자였는데 이 비율을 50%로 높이면 7,25명이 추가로 가석방될 수 있다.


재택감독은 응급치료, 직업훈련 등 예외 상황을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자택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대체형벌 제도로 가석방자의 재범방지 대책으로 검토 중이다. 징역 3년형을 선고받은 복역자의 경우 복역 기간의 70%만 채우고 가석방되면 형 집행률이 80%였을 때보다 출소 시기가 4개월 앞당겨지는데, 이 기간을 재택감독 기간으로 두자는 게 법무부의 대안이다. 재택감독은 가석방자 관리 수단으로 30여개국에서 활용 중이며 무선주파수(RF) 전자장비를 사용해 대상자가 집에 머무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법무부는 재범 우려가 큰 강력범죄 전과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전자발찌’보다는 완화된 수준의 감독 제도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가석방 시 전자발찌를 차게 하는 범죄 유형을 현재 성폭력, 미성년자 유괴, 살인, 강도 등 4대 범죄에서 모든 범죄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법무부는 이런 내용을 바탕으로 형법, 형사소송법 등 관련 법 개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무선통신 기술 발전을 반영해 기존 전자발찌의 단점을 보완한 일체형 전자발찌도 이달부터 순차적으로 사용된다. 발목에 차는 부착장치와 휴대용 위치추적장치, 재택감독 장치 등 3개로 구성되는 기존 전자발찌와 달리 일체형 전자발찌는 부착장치와 휴대용 위치추적장치를 하나로 묶은 형태다. 부착 대상자들이 휴대용 장치를 잃어버리거나 번거롭다는 이유로 훼손하고 잠적하는 등의 문제가 종종 벌어져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했다.

‘빅데이터’를 토대로 감독 대상자를 분석하여 재범 위험징후를 파악하는 관제시스템과 전자발찌 부착자가 피해자에게 일정 거리 안으로 접근하면 관제센터에 자동 통보되는 피해자 보호시스템도 각각 내년과 내후년 도입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