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삼성바이오에피스, 벤처투자로 신약 발굴

비용 문제로 임상 어려운 기업에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으로 투자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비용 문제로 임상에 어려움을 겪는 바이오벤처의 임상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에 나선다.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은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플러스 2018’에 참가해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으로 국내외 바이오벤처기업들의 R&D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픈 이노베이션은 외부 기술과 지식을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는 경영전략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투자를 계획중인 기업은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해 동물 실험까지 마치고 임상을 앞둔 바이오벤처들이다. 기술력을 갖고도 자금이 부족해 신약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 기업 중 글로벌시장에서 통할 가능성이 높은 신약 물질을 선정해 임상 자금을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바이오에피스표’ 신약을 빠르게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정식 사업 명칭은 ‘리스크 쉐어링 파트너십 모델’이다.

관련기사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이 사업을 진행하게 된 배경은 일본의 글로벌 제약회사인 다케다제약과 신약개발 협업을 진행하면서 시너지가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8월부터 다케다제약과 급성 췌장염 신약 물질 ‘SB26’에 대해 공동연구를 해왔다. ‘SB26’의 개발은 다케다제약이 했지만, 임상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맡아 진행하고 있다.

고 사장은 실적에 대한 자신감도 내비쳤다. 그는 “경쟁으로 인해 바이오시밀러 가격이 인하되고 있지만 동시에 바이오시밀러를 처방받는 환자들도 늘어나고 있다”며 “현재 매출이 정체된 것처럼 보이더라도 결국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