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구로·수색 유휴철도기지 등 37곳...새 공공택지 유력후보 부상

그린벨트 보다 부담 덜하고

주변부와 연계개발도 가능

서울시 "활용방안 검토 중"




서울시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정책에 맞춰 도심 유휴용지 발굴에 나선 가운데 ‘유휴철도기지’가 유력한 후보로 부상하고 있다. 유휴철도기지만 한 대규모 부지가 없는데다 주변부와의 연계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이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시가 관리하고 있는 유휴철도부지는 총 37곳에 이른다. 서울시는 지난 2016년 유휴철도부지 관리방안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최근 정부가 치솟는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 택지공급 확대 방침을 밝히자 유휴철도부지 개발을 통해 주택공급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그린벨트는 미래세대를 위한 최후의 보루로 마지막까지 고민해야 할 사항”이라며 “대신 도심 내 유휴철도기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관련 부서들을 통해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곳이 구로철도차량기지다. 서울시는 준공된 지 40년을 넘긴 구로철도차량기지를 경기도 광명시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5만3,224㎡ 규모의 부지에는 상업·업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 3월 발주한 구로차량기지 이적지 활용방안 용역이 올해 말 종료된다”며 “용역 결과를 참고해 서울시가 세부개발계획을 세울 예정이며 아직 결정된 사항은 없지만 복합시설이 들어온다면 상업·업무는 물론 주거시설이 지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광운대역세권(14만9,065㎡), 수색차량기지(17만2,000㎡) 개발을 통한 주거공급 계획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광운대역세권의 경우 현재 사업자인 HDC현대산업개발과 서울시·코레일이 사전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수색차량기지는 땅 주인인 코레일이 이전 용지를 찾기 위한 용역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있다. 신정차량기지(17만㎡), 신내차량기지(19만140㎡) 등 철도차량기지를 경기도로 이전할 곳도 주택공급용지 후보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밖에 효창공원앞역(8,090㎡), 망우역(7만5,224㎡), 영등포역 소화물취급소(2,739㎡), 공덕역 인근(5,676㎡) 등이 임대주택 공급지로 거론되고 있다. 정비 업계의 한 관계자는 “서울시가 그린벨트 해제보다 유휴부지 활용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 철도유휴부지를 가장 먼저 고려할 것”이라며 “노후한 자치구 청사부지나 군부대 이전 용지 등을 활용한 개발도 검토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