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3차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평양 방문이 열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문 대통령이 어떤 경로로 방북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항공, 자동차, 철도 등 3가지 방법이 있다.
지난 7일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서해 직항로를 이용해 방북할 것 같다’는 보도와 관련해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며 “여러 방안을 놓고 북쪽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서해 직항로는 2000년 남북 정상회담 때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밟은 경로다. 이번 대북특사단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평양 순안공항으로 서해 직항로를 이용해 방북했다. 비행시간은 1시간 10~20분 정도다.
앞서 4월 27일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에서 이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비행기로 오면 제일 편안하다”며 “우리 도로라는 게 아까도 말했지만 불편할 것이다. 오늘 내려와 봐서 아는데...”라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그 정도는 또 약간 남겨놓고 닥쳐서 논의하는 맛도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육로를 이용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때 군사분계선까지 자동차를 이용했다. 또 당시 아무 표시도 없던 군사분계선에 노란색 선을 그었는데, 이를 권양숙 여사와 함께 걸어서 넘은 뒤 다시 자동차를 이용해 평양까지 갔다.
마지막은 철도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문 대통령은 저서 ‘운명’에서 “우리는 남북관계의 진전을 촉진할 수 있는 (방북) 방법을 택하고 싶었다. 가장 욕심을 부렸던 방법은 철도”라며 “당시 철도가 개성까지 연결됐고 화물도 통행을 했는데 아직 사람의 통행이 안되고 있는 상황이었다”고 적었다. 또 “대통령이 열차로 다녀오게 되면 남과 북의 끊어진 철도길이 명실상부하게 열리는 것”이라며 “북측에 철도로 가는 방안을 강력히 주장했다. 북측에서도 진지하게 검토했다. 그런데 개성 위쪽부터 평양까지의 선로가 시원치 않다고 했다”(353쪽)고 적었다.
이번에도 2007년 철로를 정비할 때 개성까지만 작업이 이뤄져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미국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그대로 유지되는 가운데 철도는 이에 반하는 신호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점도 부담거리다. 청와대는 다음주 초 남북 고위급회담을 열어 방북 경로, 일정 등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