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충남도, ‘일자리 서비스 통합 제공’ 기관 설립한다

충남일자리진흥원 설립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충남도가 각 기관·기능별로 흩어져 있는 공공 고용 서비스를 하나로 묶어 통합 제공하는 ‘일자리 총괄 기관’ 설립을 추진한다.

충남도는 10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가칭 ‘충남일자리진흥원 설립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충남도는 충남일자리진흥원의 역할을 도 산하 공공기관인 충남일자리종합센터, 충남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충남노사민정 사무국, 광역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 4개 기관이 함께 하는 ‘지역 일자리 컨트롤 기관’으로 설정했다.

고용·노동 인프라 부족, 지역 주도 고용 정책 수립 및 실행력 부족, 기관 간 업무 중복 등의 한계를 넘어 도내에 산재한 공공 고용 서비스를 포괄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해 전 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종합 일자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 도의 구상이다.

충남일자리진흥원은 ▦충남 고용 노동 정책 중·장기 계획 수립 지원 ▦지역 노동시장 분석 및 고용 통계 정보 제공, 지역 노동의 질 개선 정책 지원 ▦지역 노사관계 안정화 및 갈등 조정 지원 등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지역 인력 및 훈련 수요·공급 조사 및 분석 ▦지역 인력 양성 계획 수립 및 공동 훈련센터 선정·관리 ▦대상별 구인·구직 알선 서비스 체계화 ▦일자리 박람회, 고용 촉진 장려금 지원 및 취업 취약 계층 집중 일자리 알선 등도 추진한다.


충남도는 이번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이달 중 도민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오는 11월 주민 공청회 및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12월 최종보고회 등을 거쳐 내년 3월 조례 및 정관을 제정한 뒤 내년 6월 고용노동부 허가를 받아 7월 문을 연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를 위한 연구용역은 올해 12월까지 4개월 동안 도시경영연구원이 수행한다.

충남도는 연구용역을 통해 도내 고용 현황 및 환경 변화, 국정과제 및 중장기 계획 등을 분석한다. 이어 ▦투자 및 사업의 적정성 ▦주민 복리 및 지역 경제에 미치는 효과, 지방 재정에 미치는 영향 ▦다른 기관과의 유사·중복 기능 검토, 조직 및 인력 수요 분석 ▦적정 자본 구조 분석, 공무원 정원 감축 계획 수립 및 적정성 검토 등 충남일자리진흥원 설립 타당성을 검토한다.

연구용역을 통해서는 이와 함께 충남일자리진흥원 역할과 기능, 단계별 사업·조직 운영 방안, 기금 운영 방안 등도 도출한다.

남궁영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미국의 경우 ‘원스톱 고용센터’를, 영국은 ‘잡플러스센터’를, 호주는 ‘센터 링크’를 통해 구직자 맞춤형 취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그러나 충남을 비롯한 우리나라 지자체는 각 사업단과 기관별로 대상과 성격이 다른 사업을 진행하며 일자리 정책 수립·집행에 한계를 노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남궁영 부지사는 이어 “충남일자리진흥원이 출범하면, 일자리 기획 및 시·군 일자리 컨트롤 타워 역할은 도에서 맡고 진흥원은 도-시·군 일자리 정책 지원, 고용 총괄 거버넌스 구축, 일자리 사업에 대한 유기적인 집행 등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우수한 지역 일자리 총괄 기관을 설립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홍성=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