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회계관리시스템' 도입 중단…경기도어린이집연합회 회원 반대 집회

연간 3조원에 달하는 보육관련 예산사용의 투명성 강화를 위한 ‘경기도 어린이집 회계관리 시스템’ 도입을 놓고 경기도와 어린이집 단체가 정면 충돌했다.

경기도 어린이집연합회 관계자 1,000여명은 11일 경기도청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경기도 어린이집 회계관리시스템 의무도입을 즉각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도는 도 금고를 운영하는 신한은행과 농협과 컨소시엄을 꾸려 어린이집 회계관리시스템을 개발, 지난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이 시스템 구축비용 28억여원은 두 은행에서 부담했다.


도는 회계관리시스템을 어린이집에 무상으로 지원하고 이달부터 국공립 어린이집과 지자체가 설치한 직장 어린이집 717개소를 대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다만 민간어린이집 1만1,000곳은 사용을 권장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도 어린이집 연합회 소속 관계자들은 “경기도 회계관리시스템은 기존 회계관리시스템보다 업그레이드가 많이 돼 전담직원을 따로 둬야 할 형편”이라며 “어린이집 주거래 은행을 신한은행과 농협으로 바꿔야 하는 등 불편이 크다”고 꼬집었다.

또 “경기도가 경기도 회계관리시스템을 국·공립만 시행한다지만 결국 민간어린이집에도 강요할 것”이라며 “이재명 경기지사는 회계관리시스템 도입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어린이집의 재무 회계 투명성 확보를 위해선 어린이집에 회계관리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올해 경기도 보육관련 예산은 국비와 도비 2조5713억원, 시·군비 5,439억원 등 모두 3조1,153억여원이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2007년부터 어린이집에 회계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전체 어린이집의 82.3%가 쓰고 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