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메르스 112자진신고 후 전화기 꺼…경찰 밤새 5시간 추적 소동

오인 신고 결론 났지만 부산시 대응 허점 드러나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메르스 대응 지자체 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메르스 대응 지자체 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에서 메르스 의심 자진신고가 들어왔지만 신고자 소재파악이 안 돼 경찰이 5시간 넘게 추적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보건소 확인 결과 오인 신고 처리됐지만, 담당자가 제때 연락이 되지 않는 등 부산시의 메르스 관리에는 허점이 드러났다는 평가다.


12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0시 56분께 메르스 의심 신고가 112로 들어왔다. 신고 남성은 “외국인하고 술을 먹었는데 열이 나고 설사도 난다. 외국도 많이 다녔기 때문에 검사를 받아야 할 것 같다”고 한 뒤 전화기를 꺼버렸다.

경찰은 관할 지구대 경찰관들에게 보호장비를 착용할 것과 신고자와 신체접촉을 하지 말 것을 당부한 뒤 메르스 의심 신고를 한 남성의 소재파악에 나섰다. 이와 함께 부산시청 재난상황실에 통보하고 메르스 관리 대책본부에 신고 내용을 알렸지만 시의 대응은 허술했다고 경찰은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메르스 대책본부 팀장에게 전화했더니 본인은 집에 있다며 다른 팀장에게 전화하라고 했고, 두 번째 팀장은 신고자가 직접 1339로 신고하라고 했다”며 “신고자가 전화기를 꺼버렸는데 어떻게 하란 말인지 참 답답했다”고 당시를 돌아봤다.

관련기사



이후 출동했던 경찰관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에 신고했고, 그제야 관할 연제보건소에 부산에서 메르스 의심 자진신고가 들어왔다는 연락이 닿았다.

메르스 자진신고를 한 남성을 찾기 위해 경찰서 2곳의 경찰관들이 동원됐다. 112 신고된 휴대전화 위치추적과 가입자 확인 결과를 토대로 출동했지만, 해당 장소는 빈집이었다.

다시 조회한 결과 112 신고한 휴대전화가 부산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한 여성 명의로 돼 있는 것을 확인해 찾아갔더니 해당 여성은 “지인인 50대 남성에게 명의를 빌려줬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다시 3번째 출동에 나서 신고자를 찾아냈지만 보건소의 대면조사 결과 “메르스 의심 증세로 보기 어렵다”는 판정을 받았다. 결국 이날 오전 6시 1분께 질병관리본부가 메르스 오인 신고로 결론을 내리고 나서야 소동은 일단락 됐다.

부산시 관계자는 “신고자가 술에 취해 메르스 의심 신고를 했기 때문에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했고, 그런 신고만으로 보건소 직원을 출동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