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강경화 "차관급·1급 공관장 25% 없앤다"…외교부 개편 예고

"엄격한 공관장 자격심사 통해 부적격자 원천봉쇄"

성 비위 사건 관련 "시스템 마련·철저한 교육 시행"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내신 기자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내신 기자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4일 “업무 수요와 외교적 요소들을 감안해 차관급과 1급 상당 공관장 직위의 25%를 없애겠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도렴동 청사에서 이뤄진 내신 기자 대상 브리핑에서 “인사 혁신을 단행함으로써 현행 고위급 중심 인력 구조를 실무중심·업무중심으로 개편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장관은 이어 “실무인력 확충을 통해 새로운 외교환경에 걸맞은 효율적 인력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고위직 외무공무원의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해 일반직 공무원과 같이 1급 외무공무원의 신분 보장을 완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국회와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같은 맥락에서 엄격한 공관장 자격심사를 통해 부적격자가 공관장으로 임명되지 않게끔 원천봉쇄 하겠다”며 “현재 자격심사를 통해 20%가 넘는 공관장 후보자가 탈락하고 있다. 앞으로도 360도 다면평가 강화 등을 통해 리더십 역량과 청렴성, 도덕성 등 공직자로서의 자세를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한편 강 장관은 최근 외교부 재외공관에서 발생한 성 비위 사건과 관련해 “최근에도 몇 건의 사건이 더 발생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도 “피해자들이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기 때문에 조기에 적발돼서 사안의 경중에 맞게 처벌이 이뤄지고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강 장관은 “우리 사회의 미투(Me Too) 운동을 봐도 알 수 있겠지만, 제도의 문제이면서도 동시에 문화의 문제이기도 하다”며 “제도를 마련했다고 하루아침에 뿌리뽑히는 일은 아니라는 생각으로 처음부터 불관용의 원칙에 따라 제도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외교부는 잇단 성비위 사건이 불거짐에 따라 지난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등 신고·처리절차 개선, 감사 및 징계 강화, 예방교육 내실화, 상호존중 조직문화 확립 등 복무 기강 강화 종합 대책을 세웠다. 강 장관은 “앞으로 전혀 비슷한 사건이 없을 것이라고 장담하진 못하겠다”면서 “사고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본부 직원들에 대한 교육뿐 아니라 비롯해 공관 직원들에 대한 교육도 좀 더 철저하게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