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현대차 “특별협의회 사내하도급 관련 추가 대화”

현대자동차가 4일 사내 소식지 ‘함께 가는 길’을 통해 “사내하도급 관련 추가적 논의가 필요하다면 고용노동부의 적극적인 중재 노력에 맞춰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 비정규직 문제는 지난 2016년 노사 5주체가 모인 특별협의를 통해 일단락됐다. 노사 5주체는 현대차, 사내하도급업체,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정규직), 사내하도급지회(비정규직)이다. 5주체는 당시 특별협의에서 2017년까지 6,000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며, 원활한 이행과 필요한 세부사항 추가 협의를 위해 특별협의 실무협의체를 운영키로 합의한 바 있다.


현대차는 “사내하도급 특별합의로 이뤄낸 특별고용 성과는 노사 5 주체가 모두 참여한 자율합의로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회사는 특별협의의 연장선에서 실무협의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뜻으로, 비정규직지회가 요구하는 부품사 및 물류회사 근로자의 정규직 채용은 논의의 대상이 아님을 명확히 했다.

현대차는 “현재 진행 중인 특별고용을 중단하고 모든 부품사, 물류회사 직원까지 현대차 직원으로 인정하라는 사내하도급지회의 주장은 사리에 맞지 않는 비현실적인 요구”라며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면 특별협의 합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실무협의체’ 등 대화의 장은 언제든지 열려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 2015년 8월 아산·전주 사내하도급지회와 4,000명을 특별고용하기로 한 데 이어 2016년 3월 울산 사내하도급지회가 참여한 특별협의에서 추가로 2,000명을 늘려 2017년까지 총 6,000명을 정규직으로 특별고용하기로 했다. 당시 잠정합의안 찬반투표는 사내하도급 근로자들이 77.8%의 압도적인 찬성표를 던져 통과됐다. 현대차는 2017년까지 사내하도급 근로자 6,000명을 특별고용키로 한 기존 합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지난해 임단협에서 2021년까지 3,500명을 추가해 특별고용 인원을 총 9,500명으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생산라인에 근무하는 사내하도급 근로자 가운데 정년퇴직 예정자를 제외한 근로자 대부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셈이다. 현대차는 2012년부터 현재까지 사내하도급 근로자 6,700명을 정규직으로 특별고용했으며, 2021년까지 2,800명을 추가 채용할 계획이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