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눈] 공식발표는 없고 박원순 말만 있다

변재현 사회부 기자변재현 사회부 기자



발표한다더니 하지 않는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임기 동안 서울시 시정 운영 방향을 밝힐 ‘민선 7기 시정운영계획’은 9일까지도 발표되지 않았다. 공개를 연기할 당시에는 “추석 이후에 발표하겠다”더니 최근 한 서울시 고위관계자는 “아직 책으로 정리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주까지 공개되지 않는다면 본래 예정일인 지난달 13일 이후 꼬박 한 달간 ‘공식 발표’는 없는 것이다.

발표하지 않는 것이 또 있다. 국토교통부의 9·21 주택공급대책에 대한 서울시의 공식 입장이다. 박 시장이 대책 발표 당일 “아직 못 들은 상황이니 파악해서 사후에 공개하겠다”고 한 뒤 벌써 2주가 넘었다.


추측 보도가 나올 수밖에 없다. 민선 7기 시정운영계획과 9·21대책에 대한 공식 입장에는 많은 시민이 궁금해하는 건설·대북협력·경제 정책이 총망라돼 있을 것이다. 서울시는 “용산·여의도 개발 계획 발표 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해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해명했지만 서울시의 시정 방향은 주요 관심사다. 뉴스에 대한 수요는 넘쳐나는데 공식 채널은 묵묵부답이니 여러 관계자에게 물어 정보를 캐낼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오히려 추측 보도를 조장하는 사람도 있다. 박 시장이다. 박 시장은 지난달 30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도심 업무빌딩 일부에 공공임대나 분양주택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공급을 늘리겠다는 방향은 맞지만 실제 공급이 될 때까지 입지 좋은 곳의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심지어 ‘4대문 안 고도제한을 완화한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공식 발표가 아닌 ‘바르셀로나 구상’이기에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추측이 동시에 나오는 것이다. 시가 집값 급등에 데었다며 공식 발표를 미루는데 박 시장이 ‘구상’을 내놓은 상황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추측 보도의 책임이 기자 또는 서울시에 있는지 가리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혼란에 종지부를 찍으려면 적어도 시민 앞에 서울시의 시정 방향이 무엇인지는 분명히 밝혀야 한다. 이제 그만 미루자.
humbleness@sedaily.com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