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라돈침대' 원료, 국내에 4.5t 남아있어…관리 대책 필요"

‘라돈침대’ 사태를 불러온 원료인 모나자이트가 국내에 아직 많이 남아있어, 관리 대책에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라돈침대’ 사태를 불러온 원료인 모나자이트가 국내에 아직 많이 남아있어, 관리 대책에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



‘라돈침대’ 사태를 불러온 원료인 모나자이트가 국내에 아직 많이 남아있어,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실이 12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모나자이트 수입한 업체 1곳과 관련 제품 제조업체 66곳의 모나자이트 보관량이 총 4.5t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라돈침대 사태 이후 모나자이트 활용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지만, 현재 사용 금지 등의 규제가 없어 이후에도 국내용 가공제품에 활용할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어 “모나자이트를 보관하고 있는 업체 가운데 국내 가공제품 제작업체는 15곳인데 이 중에는 목걸이, 팔찌, 타일, 섬유 등 생활제품 제조업체뿐 아니라 건강 관련 가공제품을 취급하거나 친환경을 슬로건으로 하는 곳도 포함돼 있다”며 “남은 모나자이트를 사용하지 못하게끔 신속한 조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모나자이트는 천연 방사성 핵종인 우라늄과 토륨이 1대 10 정도로 함유된 물질로, 우라늄과 토륨이 붕괴하면 각각 라돈과 토론이 생성된다. 원안위는 앞서 대진침대 매트리스 커버에 모나자이트로 만든 음이온 파우더가 도포돼 라돈이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