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시그널] 지주에 남는 롯데멤버스..빅데이터 앞세워 e커머스 선도

■ 공정위, 롯데멤버스 성격 비금융사로 전환 허용

3,800만 고객 데이터 기반으로

온-오프 오가는 'O4O' 탄력

그룹 내 계열사와 사업 시너지

금융사 구조 개편도 빨라질 듯

1315A17 롯데멤버스주주현황



롯데그룹이 빅데이터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롯데멤버스를 e커머스사업의 중심축에 두기로 했다.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유통공룡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르게 지배력을 키웠다는 점에 착안해 빅데이터를 육성하겠다는 특단의 조치다. 그룹 소속의 금융사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금융 및 유통 관련 빅데이터만 확보한다면 지금과 같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계산도 깔려 있다.

이를 위해 롯데그룹은 금융사로 분류된 롯데멤버스를 비금융사로 분류해 롯데지주(004990)의 자회사로 남겨 그룹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합할 계획이다. 애초 롯데멤버스는 그룹이 지주회사로 재편되며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롯데캐피탈 등 금융계열사로 매각해 지주에서 분리할 예정이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경영복귀 이후 롯데그룹은 지난 10일 롯데케미칼을 지주에 편입한 데 이어 계열사 간 지분 정리를 통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새롭게 형성된 순환출자 고리를 정리하면서 신 회장 공백으로 멈춰졌던 e커머스사업도 롯데멤버스를 앞세워 가속도를 붙일 계획이다.


1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멤버스의 성격을 금융사에서 비금융사로 바꾸도록 허용했다. 대기업 집단은 계열사를 설립한 후 통계청 업종 분류코드에 따라 비금융사인지 금융사인지를 가려 공정위에 편입 신고를 해야 한다. 롯데카드의 사업부에서 2015년 1월 별도법인으로 분리된 롯데멤버스는 금융계열로 편입신고 됐다. 하지만 옴니채널(온오프라인 통합)에서 040(온라인-오프라인, 오프라인-온라인)로 e커머스 전략을 세우며 롯데멤버스를 지주에서 제외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비금융사로의 전환 작업이 시작됐다. 롯데멤버스가 보유한 엘포인트(L.POINT) 등 고객 멤버십 및 고객 쇼핑 빅데이터, 전자결제시스템(L.Pay) 서비스가 지주사 아래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롯데가 유통업을 근간으로 한다는 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쇼핑 산업이 대두 되고 있다는 점에서 롯데멤버스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롯데그룹은 기존에 분산된 계열사별 온라인몰을 통합하고 3조원을 투자해 롯데멤버스와 1만1,000개에 달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1315A17 롯데엘포인트회원


롯데멤버스는 3,80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업계 1위 업체로 연간 포인트 사용률도 90% 이상에 이른다. 롯데멤버스는 엘포인트로 고객·거래·상품·결제·위치 등 정형화된 데이터 및 블로그·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비정형 데이터까지 분석할 수 있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빅데이터 관련 기업은 활동 횟수, 유료 서비스나 계열사와 시너지를 낼 수 있어야 한다”면서 “이 점에서 롯데멤버스는 우수한 자원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통·금융계열사뿐만 아니라 롯데정보통신과의 시너지도 가능하다. 롯데정보통신은 AI·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금융 및 전자결제 관련 신규사업을 추진 중이기 때문이다. 롯데 관계자는 “롯데멤버스는 소비자가 온라인·오프라인·모바일 등 유통 채널의 특성을 결합해 상품을 판매하는 O4O의 핵심 연결고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멤버스를 비금융사로 다시 편입하며 롯데그룹은 롯데캐피탈·롯데카드·롯데손해보험·롯데렌탈·롯데오토리스 등 금융사들의 지배구조 개편 작업에도 속도를 붙일 것으로 보인다. 한때 IB업계에서 롯데 계열 금융사들이 매물로 나올 것이라는 소문도 돌았지만 롯데 내부에서는 지분 정리를 통해 지주사와 별도로 그룹 내 계열사로 남기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분 교환 방식은 롯데물산을 지주 밖에 두고 롯데물산이 보유한 롯데케미칼 지분과 롯데 지주가 가진 롯데금융사 지분을 일부 맞교환하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이 경우 롯데물산의 모회사가 일본계 주주여서 대주주 적격심사를 맡는 금융당국을 설득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김민석·임세원·양철민기자 seok@sedaily.com

김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