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면제 대상인데도 검사 오류로 현역 복무…국가 배상금은?

종양이 뇌막까지 침투했는데도 5급 아닌 4급 판정 실수

예비 병사들이 신체 검사를 받고 있다./연합뉴스예비 병사들이 신체 검사를 받고 있다./연합뉴스



병역판정검사(징병신체검사)에서 4급 판정을 받고 공익근무요원 대신 현역 복무를 한 남성이 신체검사 판정에 오류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져 국가로부터 손해를 일부 배상받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4부(이상윤 부장판사)는 23일 A씨가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A씨에게 5,000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고 밝혔다. 의대생 A씨는 지난 2012년 9월 두개골에 종양이 발견돼 이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고, 같은 해 11월 병역판정검사를 받으며 수술 내용이 포함된 진단서 등을 제출했고, 4급 보충역 판정을 받았다. 이후 의사면허를 취득한 A씨는 의무장교로 자원했고, 지난 2015년 2월 의무 사관후보생으로 입영한 후 중위로 임관했다. 하지만 지난 2016년 11월 국가가 판정검사 오류가 있었다며 A씨의 군 복무 적합 여부를 다시 검사했고, A씨는 심신장애 2급 판정을 받고 지난해 1월 전역처리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A씨는 “판정검사 당시 종양이 이미 뇌막까지 침투된 상태였음에도 5급이 아닌 4급으로 판정해 현역으로 군 복무를 하게 됐다”며 지난 2017년 7월 국가를 상대로 3억4,000여만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당시 징병검사 전담 의사가 제출된 의무기록지 등을 검토해 A씨 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객관적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고 종양이 두개골에서 생겼다는 것 등에 치중해 평가 기준을 잘못 해석했다”고 국가 책임을 일부 인정했다. 그러면서 “검사 당시 평가 기준에 따르면 A씨는 구 병역법에 따라 제2국민역 또는 병역면제 처분대상에 해당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담당 공무원의 과실이 없었다면 A씨는 적어도 제2국민역으로 편입돼 전시 등에 군사업무를 지원할 뿐 보충역으로도 복무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국가 측의 A씨가 4급 판정을 받고도 스스로 의무장교에 자원입대했는데도 현역으로 군 복무를 한 책임을 묻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면서 “(원고가) 과실로 보충역 처분을 받은 이상 의사면허 취득자로서 공익근무요원으로 근무할지 의무장교로 복무할지는 복무 기간과 복무 중 처우 등을 고려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사항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다만 “의사면허를 취득한 A씨는 자신의 질병이 평가 기준에서 어느 항목에 해당하는지를 의사가 아닌 사람에 비해 쉽게 파악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임에도 병역처분변경신청을 하지 않고 현역 자원입대한 점을 고려했다”며 국가의 책임을 80%로 제한했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노진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