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응우옌, 국가주석도 꿰차며 호찌민 이후 베트남 절대권력으로 등극

응우옌 푸 쫑 공산당 서기장 /AP연합뉴스응우옌 푸 쫑 공산당 서기장 /AP연합뉴스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국가주석으로 선출 되면서 베트남 권력서열 1·2위를 모두 차지하게 됐다.


23일 베트남 국회는 본회의에서 쫑 서기장을 국가주석으로 선출, 겸직하도록 했다.

이날 단독후보로 추천된 쫑 서기장은 국회의원 99.79%로부터 찬성표를 받았다.


지난 9월 21일 쩐 다이 꽝 전 주석이 병환으로 별세하면서 국가주석직이 공석이 됐다. 지금까지 당 티 응옥 틴 부주석이 직무를 대행해왔다.

관련기사



공산당 서기장을 정점으로 국가주석(외교, 국방), 총리(행정), 국회의장(입법)이 권력을 나눠 갖는 집단지도체제를 택하는 베트남에서 한 사람이 당과 국가를 모두 대표하는 것은 국부인 호찌민 전 주석 이후 처음이다.

응우옌 서기장은 베트남 북부 하노이 출신으로 하노이종합대에서 문학을 전공했다. 옛소련에서 유학한 뒤에는 공산당 기관지 편집장과 당 정치국원, 국회의장을 거쳐 2011년 서기장에 올랐다.

대표적인 사회주의 이론가인 그는 국영기업이 중심이 돼 경제발전을 이끌어야 한다는 ‘베트남식 사회주의 시장경제’ 개념을 만든 것으로도 잘 알려졌다. 이후 2016년 정치력을 발휘해 재선제한 연령(65) 예외 규정을 인정받으며 당시 정치적 라이벌인 응우옌떤중 총리의 도전에 맞서 재선에 성공했다. 대대적인 ‘부패와의 전쟁’으로 권력 기반을 다진 그의 행보를 두고 일각에서는 정적을 제거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린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 바 있다.

한국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는 국회의장 시절인 2008년 대규모 기업사절단을 이끌고 적극적인 한국 기업 유치활동을 벌였으며 2014년 10월 서기장으로서 방한했을 당시에는 삼성전자 서울 서초동 사옥을 직접 찾아 베트남 남부 호찌민에 삼성전자의 소비자가전복합단지 건설을 승인하는 투자승인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3월 베트남을 국빈 방문했을 때 쫑 서기장을 면담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