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내년부터 어린이집 전면 무상보육

박원순 "국공립-민간 차액 지원"

예산심사때 재정건전성 쟁점될듯

서울시가 내년부터 어린이집 전면 무상보육을 시행한다. 민간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는 가구에도 국공립어린이집 보육료와의 차액을 지원해 ‘완전 무상보육’을 하겠다는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27일 ‘2018 서울 복지박람회’에서 “불가피하게 (아이들을) 민간어린이집에 보내며 더 비싼 보육료를 내는 부모님들이 있다”며 “내년부터 국공립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 보육료 차액을 전액 지원해 실질적 무상보육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 민간어린이집을 이용하는 4~5세 육아 가구는 정부지원 보육료를 넘는 월 8만9,000원(3세 10만5,000원)의 차액을 내고 있다. 지난 2016년 이후 차액 보육료 지원을 검토해왔던 서울시가 정책 도입 시점을 내년으로 명시한 것이다.


박 시장은 또 “‘우리동네 열린 육아방’을 확대해 초보 부모의 육아 부담을 덜어주겠다”고 말했다. 우리동네 열린 육아방은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0∼5세를 위한 공동육아 품앗이 공간으로 서울시는 2022년까지 450곳을 설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 외에도 서울시는 ‘청년 미래투자기금’ 전국 최초 조성,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장애인 콜택시 확대 등 복지 정책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그동안 민간에 위탁 운영했던 국공립 사회복지시설을 직접 운영하고 장기요양·노인돌봄·장애인 활동지원 등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재가 센터’를 운영하는 ‘서울 사회서비스원’을 내년 상반기 안에 출범하기로 하는 등 복지에 각별한 관심을 쏟고 있다.

다만 이미 시 전체 예산의 30%를 넘은 복지 예산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커 앞으로 예산 심사에서 재정 건전성 문제가 쟁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