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북미협상 속도날까…美 비건 대북특별대표 방한

후커 백악관 NSC 한반도 보좌관 등 동행

30일까지 머무르며 외교부·청와대와 회동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한미 간 대북 공조 방안 조율을 위해  28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왼쪽은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 /연합뉴스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한미 간 대북 공조 방안 조율을 위해 28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왼쪽은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 /연합뉴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28일 2박 3일 일정으로 방한했다. 일각에서는 비건 대표가 방한 계기 판문점 등지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등과 접촉할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외교부와 미 국무부 등은 관련 언급을 하지 않았다.


비건 특별대표는 이날 오후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 케빈 김 국무부 대북 선임고문 등과 함께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비건 대표는 방한 목적 등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늘은 어떤 질문에도 답할 수 없다”고 말했다. 비건 대표는 29일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장관을 예방하고, 한국 측 카운터파트인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한미 북핵 협상 수석대표 협의를 한다. 이와 함께 내달 6일 미국 중간선거 이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되는 북미 정상회담 사전 협상 등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 최근 한미 공조에 있어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는 철도, 양묘장, 개성공단 등 남북 교류 관련 대북 제재 저촉 여부 등에 대해서도 견해를 상호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비건 대표는 이 본부장 뿐 아니라 청와대 안보실 관계자 등과도 회동할 것으로 예상 된다.

관련기사



한편 일각에서는 비건 대표가 최 부상과 판문점에서 접촉할 수 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북미가 1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판문점에서 실무 협상을 진행했던 전례가 있다는 점에서다. 하지만 이 같은 가능성에 대해 외교부나 미 국무부는 어떤 반응도 내놓지 않고 있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