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부실기업, 5년간 50% 증가"

박영선 국감자료 “박근혜정부, 구조조정 시기 놓쳐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늘어”

23일 광주 북구 오룡동 정부광주합동청사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광주지방국세청,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23일 광주 북구 오룡동 정부광주합동청사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광주지방국세청,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벌어들인 돈으로 빚 이자도 제대로 내지 못하는 부실기업이 최근 5년간 크게 증가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9일 발표한 기획재정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상장기업과 외부감사법인 등 2만8,162개 법인 중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부실기업은 지난 2012년 5,606개에서 2017년 8,243개로 47.0% 증가했다.

이자보상배율이란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태는 지표로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영업을 통해 번 이익으로 이자도 낼 수 없는 경우 이자보상배율은 1보다 낮은 값을 가진다.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은 2012년 5,606개, 2013년 5,974개, 2014년 6,657개, 2015년 7,338개, 2016년 7,798개, 2017년 8,243개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왔다. 이 중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상태가 3년 연속 지속된 ‘좀비기업’은 2017년 말 기준으로 총 2,883개에 달한다.

관련기사



박 의원은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등 공공기관 출자회사 중에도 부실 출자와 ‘좀비기업’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해당 기업들에는 세금이 들어간다. 지난해 말 기준 공기업·준정부기관 63곳은 총 537개의 자회사 및 출자회사에 모두 42조3,462억을 출자했다. 이 중 58.7%인 315개 출자회사가 손실을 기록했다. 2015∼2017년 3년간 출자지분율 대비 손실 합계는 14조1,081억원에 달한다.

공기업·준정부기관 출자 회사 중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좀비기업’은 28곳으로 나타났다. 이들 ‘좀비기업’에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이 쏟아부은 누적 출자액은 7,176억원, 출자지분율 대비 손실합계는 3,008억원이었다.

박 의원은 “박근혜정부가 금리 인하로 돈만 풀며 경기를 부양하고 구조조정 시기는 놓쳐 5년간 ‘좀비기업’이 크게 늘어난 것”이라면서 “공공기관 출자회사 실태를 재점검하고 손실이 계속되는 회사를 정리하는 등 엄격한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다원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