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취업자 6만 늘어난 농어업, GDP는 '뚝'

일자리 늘어난 이유 알수없다는데

'고용증가=생산증가' 상식도 뒤집어

생산성 급감 속 허수고용 논란 커져

3115A08 농림



올 3·4분기 취업자 증가폭은 1만7,000명이었다. 이중 농림어업은 6만2,000명에 달한다. 월별로 뜯어봐도 마찬가지다. 9월 취업자 증가 수 4만5,000명은 농림어업(5만7,000명)보다 작다. 3,000명 증가라는 최악의 성과를 냈던 8월 농림어업은 무려 6만9,000명이나 늘었다. 농어업 일자리가 없었으면 마이너스였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미스터리였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일자리 감소에도 농어업은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뚜렷한 이유는 못 찾았다. 위장전입이나 허수 논란만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농어업 일자리 증가에도 농림어업 국내총생산(GDP)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이 늘어나면 생산이 많아진다는 상식을 뒤집는 결과다.

관련기사



30일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 3·4분기 농림어업 GDP는 7조1,26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328억원 쪼그라들었다. 같은 기간 고용은 6만2,000명이나 불어났다. 계절성을 고려한 3·4분기 GDP는 2·4분기보다 3,544억원 적다.

일반적으로 고용이나 투자가 증가하면 GDP가 커진다. 이 때문에 농어업 일자리가 상당 부분 허수이거나 생산을 하더라도 자가소비를 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고용이 늘면 GDP가 증가하는 게 맞다”며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다”고 했다.

헷갈린 건 정부도 똑같다. 통계청의 한 관계자는 “이유는 모르겠지만 고령화로 인해 은퇴할 사람들이 남아있는 것 아닌가 추정할 수 있다”며 “이 경우 고용유발 계수가 떨어져 생산성이 낮아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폭염 때문에 물대기를 위한 고용이 늘지 않았나 생각해볼 수 있다”며 “폭염을 감안해도 고용이 증가했는데 GDP가 감소했다는 것은 생산성이 대폭 떨어졌다고 분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최영기 전 노동연구원 원장은 “통계조작은 아닐 것”이라면서도 “최근 증가하는 농어업 일자리가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이 아니며 이를 디스카운트해서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세종=김영필기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