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강제성’ 부정하는 日아베…징용공→‘한반도출신 노동자’ 변경

위안부·군함도 문제서도 ‘강제성’ 지우려 해…국제 여론전 태세

지난해엔 ‘소녀상’ 아닌 ‘위안부상’ 호칭 사용도

AFP연합뉴스AFP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일 국회에서 그동안 각료뿐 아니라 언론 등이 사용해 온 ‘징용공’이라는 표현 대신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는 표현을 공식 사용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그동안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포함해 일제 강점기 시대 양국 현안에서 부각된 ‘강제성’을 줄곧 부인해 온 움직임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아베 총리는 이날 한국 대법원의 징용배상 판결과 관련, “(일본) 정부는 ‘징용공’이라는 표현이 아닌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고 말씀드리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당시 국가총동원법 국민징용령에는 모집과 관 알선, 징용이 있었다”며 “실제 이번 재판에서 원고의 표명은 모집에 응했다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고 말하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발언은 당시 모집과정에서 강제성이 없었다는 억지 주장을 대변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아베 총리가 대법원의 징용배상 판결과 관련,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는 표현을 공식 사용함에 따라 향후 일본 정부 내에선 같은 표현을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불과 열흘여 전인 지난달 19일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정례 브리핑에서 “이른바 징용공 문제를 포함해 한일간의 재산청구권 문제는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것이 일본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징용공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