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불안 드리운 삼성 주력산업-디스플레이]OLED 경쟁 치열...세트사 입김 커져 부담

중소형사 가세에 가격협상력↓

삼성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에 주로 사용되는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0LED)의 절대 강자다. 2000년대 초반부터 중소형 OLED 투자를 이어오며 생산력과 기술력을 높여왔다. 9인치 이하 중소형 OLED 점유율(IHS마킷, 1·4분기)은 95.4%에 달한다. 문제는 이런 삼성디스플레이마저 세트사에 휘둘릴 수 있다는 점이다. 애플과의 관계가 대표적이다. 애플은 아이폰 10주년 스마트폰인 ‘아이폰X’에 삼성 OLED를 채용하기로 했다 소비자 반응이 예상에 못 미치자 물량을 줄였다. 이 때문에 지난해 4·4분기 1조4,100억원에 달했던 삼성디스플레이의 영업이익은 올 2·4분기 1,400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급하게 중국 고객사 물량 확대에 나섰지만 결국 공장 가동률을 낮추고 신규 투자 규모와 시기마저 조정할 수밖에 없었다.


중소형 OLED 제조사가 늘어나며 세트사의 가격협상력이 높아지는 것도 삼성에는 부담이다. 삼성에 이어 LG디스플레이·BOE·차이나스타(CSOT)·비전옥스·티안마 등이 중소형 OLED 시장에 뛰어들었다. 삼성과 후발주자 간 기술격차가 1~2년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있다. 후발주자가 품질과 생산성을 일정 수준 갖추면 세트사로서는 마다할 이유가 없다. 이미 애플이 삼성뿐 아니라 LG디스플레이·BOE 등과 가격협상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프리미엄 스마트폰 가격에 대한 소비자 반응도 삼성에 리스크가 될 수 있다. 100만원을 훌쩍 넘어버린 스마트폰에 소비자 저항이 커질 경우 세트사는 완제품 가격을 낮출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제조원가의 10%가 넘는 플렉시블 OLED의 공급가를 줄이든가 아예 LCD로 교체하는 일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출시된 아이폰XS의 값은 150만원 선으로 노트북 수준”이라며 “디자인이나 화질 면에서 소비자가 LCD와 OLED 간에 큰 차이를 못 느낀다는 점이 판매 결과로 입증될 경우 플렉시블 OLED 수요가 주춤할 수 있다”고 전했다.

중국발 LCD 공세에 맞서는 것도 삼성디스플레이의 과제 중 하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사업 비중을 80%가량으로 늘리며 LCD 공급 과잉에 대응해왔다. 다만 BOE는 프리미엄 제품군으로 분류되는 60인치 이상 초대형 LCD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삼성은 8K TV용 패널 판매를 늘리고 향후 퀀텀닷 유기발광다이오드(QD-OLED)를 선보일 예정인데 이 같은 연착륙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