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불황이라는 데 외식물가는 7년만에 최대폭 '껑충'

떡볶이, 자장면, 갈비탕 등 일제히 상승

쌀 등 재료값 폭등에 최저임금 상승까지 겹친 탓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불황으로 소비자물가는 정체되고 있지만 외식물가는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 서민들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통계청은 3일 올해 1∼10월 외식 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상승했다고 밝혔다. 2011년 1∼10월(4.3%) 이후 6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외식 물가는 짜장면·김치찌개 등 서민들이 자주 소비하는 음식 39개 품목의 물가를 측정한 것이다.


이는 외식물가지수를 구성하는 대부분 음식이 예년보다 더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낸 데 따른 것이다. 떡볶이는 올해 1∼10월 5.1%나 올라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갈비탕(5.9%), 자장면(4.4%), 볶음밥(4.0%) 등도 2011년 당시 물가 상승 폭에 근접했다.

관련기사



이런 물가 상승에는 음식의 재료가 되는 채소류나 쌀 등 곡물의 가격 상승세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올해 쌀 가격은 10월까지 1년 전보다 27.5%나 오르면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아울러 올해 큰 폭으로 오른 최저임금도 음식값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최저임금 상승폭은 16.5%에 달한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