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국내 항생제 사용량 증가세…"인구 증가율보다 더 높아"

OECD 평균보다 1.6배 더 높아

한국과 OECD 가입국가들의 항생제 사용량 평균. /사진제공=SK(주)C&C한국과 OECD 가입국가들의 항생제 사용량 평균. /사진제공=SK(주)C&C



국내 항생제 사용량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와의 격차도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게서 5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 한국 국민의 항생제 사용량은 34.8DID(하루 1,000명당 의약품 사용량)로 OECD 26개국 평균 사용량 21.2DID보다 13.6DID 더 많았다. 지난 2008년 한국 사용량이 26.9DID로 OECD 평균 21.7DID보다 5.2DID 많았던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더 커진 것이다.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2009년 26.9DID, 2010년 27.5DID, 2011년 29.1DID, 2012년 29.8DID, 2013년 30.1DID, 2014년 31.7DID, 2015년 31.5DID, 2016년 34.8DID 등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왔다. 심지어 인구 증가율보다 항생제 소비량과 항생제 처방 인원 증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3년과 2016년을 비교하면 인구증가율은 1.6%이지만, 항생제 소비량은 17.5% 증가했고, 항생제를 처방받은 환자 수는 15.6% 증가했다. 지난 2016년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34.8DID)은 터키(40.6DID), 그리스(36.3DID) 다음으로 많았고, OECD 평균(21.2DID)에 비해서는 1.6배 많은 수준이었다.

관련기사



반면 호주와 핀란드, 포르투갈, 스웨덴의 경우, 항생제 사용량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호주의 사용량은 2008년 24.9DID로 OECD 평균보다 높았지만, 점차 격차가 줄었으며, 2013년 18.5DID를 기록하면서 OECD 평균 이하로 집계됐다. OECD 회원국 중 항생제 사용량이 특히 적은 나라는 네덜란드(9.7DID), 에스토니아·스웨덴(13.6DID), 헝가리(13.7DID), 슬로베니아(14.0DID), 독일(14.1DID) 등이었다.

이 의원은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사망률과 손실액이 높아져 가고 있는 상황에서 호주와 핀란드는 획기적으로 항생제 사용량을 감소시켰는데 한국은 OECD와의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해외 성공사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노진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