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中企 제조업 생산 4.3%↓…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

올해 2월부터 8개월째 내리막…中企 서비스업도 둔화세 ‘뚜렷

중소기업중앙회 사진이다. 본문과는 무관하다./연합뉴스중소기업중앙회 사진이다. 본문과는 무관하다./연합뉴스



올해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력산업의 불황으로 시작된 찬 바람이 중소기업에 한파로 불어닥치는 양상이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9월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지수는 97.0(2015년=100)으로 1년 전보다 13.9% 감소했다.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은 올해 2월부터 8개월째 내림세다.


이에 따라 올해 1∼9월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줄어들면서 2009년(-8.8%)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대기업 제조업 생산과 비교하면 중소기업의 경기 불황은 더욱 뚜렷하게 감지된다. 올해 1∼9월 대기업 제조업 생산은 중소기업과 마찬가지로 3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지만, 낙폭은 0.4%에 그쳤다. 2015년 감소 폭(-1.1%)보다 작은 수준이다.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은 주로 자동차부품업, 기타금속가공업, 플라스틱제조업 등에서 감소 폭이 컸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주력산업으로 꼽혔던 자동차·조선업의 불황이 중소기업이 대다수인 하청·협력업체로 옮아가면서 그 파장이 커지고 있다. 중국 제조업 부상, 공장 이전 등으로 봉제·의류업 생산도 최근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조선·자동차 산업에서 대기업 의존도가 높은 산업구조 특징상 주력 제조업의 불황이 중소기업으로 확대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견해도 있다. 실제로 2009년 금융위기 때도 대기업 제조업 생산이 4.3% 감소했을 때 중소기업은 두배 수준인 8.8%나 급감한 바 있다.

중소기업의 안좋은 상황은 서비스업에서도 감지됐다. 올해 1∼9월 중소기업 서비스업 생산은 1년 전보다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년 증가 폭(2.1%)보다 축소된 것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대기업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과 같은 수준인 2.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소 서비스업 생산 둔화는 식당·주점 등 숙박·음식점업 불황이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통계청은 파악하고 있다.

통계청의 제조업 통계상 중소기업은 계열사를 포함해 종사자가 300명 미만인 기업이다. 서비스업 통계상 중소기업은 중소기업법에 따라 업종별로 매출액이 일정 금액 이하인 기업을 뜻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주력산업 구조조정이나 건설업 부진 등이 중소기업 생산 위축에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