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국 항생제 처방 '위험 수준'… OECD 평균 1.6배

우리나라의 항생제 사용량이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의 격차도 갈수록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명수 자유한국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기준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34.8DID로 OECD 평균 21.2DID보다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ID는 인구 1,000명당 하루 의약품 사용량을 매기는 기준이다.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지난 2009년 26.9DID를 시작으로 2010년 27.5DID, 2011년 29.1DID, 2012년 29.8DID, 2013년 30.1DID, 2014년 31.7DID, 2015년 31.5DID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6년 기준 터키(40.6DID), 그리스(36.3DID)에 이은 세계 3위다.

관련기사



고령화 추세와 인구 증가 등으로 항생제 사용량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한국은 인구 증가율에 비해 항생제 소비량과 항생제 처방환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3년과 2016년을 비교했을 때 인구증가율은 1.6%이었지만 항생제 소비량은 17.5% 늘었고 항생제 처방환자도 15.6% 증가했다.

이 의원은 “2008년만 해도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26.9DID로 OECD 평균 21.7DID보다 5.2DID 많았지만 2016년에는 13.6DID 수준으로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며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사회적인 비용이 증가하는 만큼 호주와 핀란드 같은 선진국 사례를 참고해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