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65년 동안 갇혔던 한강 하구길 열리나

남북 공동수로조사 착수

연말까지 자유항행 위한 해도 작성, 1월 완성 계획

내년 4월께 민간선박 운항 허용될 듯…상호 통보해야

남북 공동한강하구수로조사가 시작된 5일 강화 교동도 한강하구에서 남측과 북측 조사단이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남북 공동한강하구수로조사가 시작된 5일 강화 교동도 한강하구에서 남측과 북측 조사단이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남북 공동조사단이 5일 한강하구 자유항행을 위한 수로조사에 들어갔다. 한강과 임진강 하구에 대한 남북 공동수로조사는 지난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65년 만에 처음이다.

공동조사단은 당초 이날 오전10시께 한강하구에서 만나 조사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썰물로 인해 하구의 수심이 낮아지면서 우리 측은 늦게 도착하고 북측도 수로를 찾지 못한 채 군 통신선으로 오후로 일정을 연기해 오후2시58분에서야 만났다. 우리 측 조사단은 국방부와 해양수산부, 어로 관계자 10명, 북측은 군인 10명으로 구성됐다. 북한에는 해양수산부 같은 조직이 없어 인민군 해군 수로조사국 소속 군인들이 공동조사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 조사단 중 4명은 우리 측 조사선에 탑승해 한 시간가량 조사 개요와 계획 등을 협의했다. 남북 공동조사단은 북측에 가까운 하구 지역으로 이동한 후 부표를 설치하고 이날 조사를 마쳤다.

관련기사



공동조사단은 음향장비를 이용해 선박에서 강바닥까지의 깊이를 측정한 후 조석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바닷물의 깊이까지 측정해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수로를 찾아내는 작업을 올해 말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남북은 이후 각기 국제수로기구(IHO)가 정한 양식에 따라 해도를 작성할 계힉이다.

남북이 지난달 26일 제10차 장성급회담에서 합의한 한강과 임진강 하구 공동이용수역은 남측의 김포반도 동북쪽 끝점에서 교동도 서남쪽 끝점까지, 북측의 개성시 판문군 임한리에서 황해남도 연안군 해남리까지로 길이 70㎞, 면적 280㎢에 이르는 수역이다. 공동조사단은 전체 공동이용수역을 A·B·C 3개 구역으로 나눠 하루에 4시간씩 수로조사를 하기로 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